교과부, 공모 아닌 최적지 선정… ‘공동대응’ 충청권과 경쟁 불가피
세종시 수정법 부결 등에 따라 입지가 확정되지 않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대한 경기도 유치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20일 교육과학기술부와 도에 따르면 교과부는 지난 17일 내년도 업무보고를 통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과 관련, 지방자치단체간 경쟁을 붙이는 공모 방식을 채택하지 않는 대신 교과부가 최적의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부지를 선정하고 내년 말까지는 법적 절차와 요건에 따라 비즈니스 기반 구축 및 글로벌 정주여건 조성 등을 포함한 기본계획 수립도 끝낸다는 방침이다.
과학벨트는 당초 충청권에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세종시 수정법 부결에 이어 특별법에서도 입지가 확정되지 않음에 따라 충청권과 광주광역시, 대구·경북권 등에서 현재 유치를 추진 중이다.
경기도 역시 정부청사가 이전하는 과천과 광주, 용인, 동두천 등 4개 지자체가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도의 경우 내년 상반기 중 교과부가 최적의 부지를 선정할 때까지 도내 후보지 선정을 위한 실사 기간이 짧은데다가 탈락한 시·군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어서 자칫 지자체간 분열도 우려되고 있다.
특히 도와 강력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충청권은 대전과 충남, 충북 등 3개 시·도지사가 대정부 공동건의문 발표에 나서는 한편 충남도의회가 촉구결의안을 채택, 청와대와 국회, 교과부에 제출하는 등 전방위 압박에 나서고 있다.
또 지역 국회의원 등 정치권과 시민단체까지 가세, 대통령 공약 사항임을 내세우고 있는 것도 충청권 유치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교과부가 지자체간 공모 방식을 포기한 것과 관련, 2012년 총선을 앞두고 충청권 표심을 잡기 위해 충청권을 배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어, 경기도의 과학벨트 유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과학벨트 입지 선정이 내년 상반기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내년 초까지는 도내 후보지를 1∼2곳으로 압축,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라며 “대기업과 연계해 구축되고 해외연구인력도 도입하는 만큼 경기도가 적지임을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학벨트는 향후 7년간 3조5천여억원을 투자해 기초과학 및 기초연구역량의 진흥과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초과학연구원과 대형 기초연구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지난 8일 관련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