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유네스코 ‘세계 책의 수도’ 선정… 시민운동 확산
인천시가 ‘짠물’로 연상되던 도시 이미지를 ‘책 읽는 도시 인천’과 ‘고려 문화 인천’ 등으로 대변신에 나선다.
시는 오는 2014년까지 유네스코의 ‘세계 책의 수도’ 지정 도시 선정을 목표로 내년에 ‘책 읽는 도시 인천’ 비전을 선포하고 범시민 독서운동을 확산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유네스코의 ‘세계 책의 수도’는 지난 2001년 스페인 마드리드를 시작으로 매년 도시 1곳 등 현재까지 모두 8곳이 지정됐으며 인천이 지정될 경우 국내 최초다.
시는 우선 매년 5억원씩 투입, 오는 2012년까지 완공 예정인 도서관 60여곳 등 지역 내 공공도서관 120곳과 지역문고 145곳을 묶는 네트워크를 구축한 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청소년 독서토론실과 주부 독서 자원봉사활동가 양성프로그램 등을 비롯해 유아를 위한 북스타트 및 노인·장애인을 위한 북피니쉬 운동 등을 펼쳐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도 확보한다.
시는 이와 함께 ‘신라’하면 떠오르는 도시가 ‘경주’인 것처럼, ‘고려’하면 ‘인천’의 이미지가 떠오를 수 있도록 고려문화권 연구 개발에도 앞장선다.
강화에는 고려가 몽골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수도를 강화로 옮기면서 강화고려궁지와 고려이궁지 등 남한지역 유일의 고려역사와 문화유산 등이 남아있다.
특히 장기적으로 고려 수도인 북한 개성과 연계를 위해 남북 역사학자 공동 학술대회와 남북한 역사·문화재 전문가 문화유적 공동답사, 남북한 박물관 소장 고려유물 교환 전시전 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기존 강화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이나 스포츠 교류 등과 함께 이같은 문화 교류로 인천이 남북 간 평화교류 전진기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동암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적은 예산으로 ‘짠물’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던 인천의 이미지를 복지와 문화도시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연차별로 실현 가능한 세부 계획을 마련, 내년부터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