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서 ‘인천’ 빠진채 ‘대한민국’만 명시… 오늘 3국 서명식
인천시가 추진하던 한·중·일 협력사무국 유치가 무산될 위기에 놓여 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무토 마사토시 주한 일본대사,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 등은 16일 오후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3국 협력사무국 협정 서명식을 갖는다.
그러나 이 협정서에는 사무국 설치 장소인 ‘대한민국’만 명시되고 구체적인 지역명칭인 ‘인천’은 빠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사무국을 두는 것으로 내부 방침을 세웠던 외교통상부는 지난 10월 시와 3국간 협의가 끝나면 협정서에 ‘사무국은 대한민국 인천에 둔다’고 명시하기로 협의했지만, 정작 협정서에는 ‘인천’이라는 명칭을 뺀 것이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인천에 사무국 설치를 반대하는 일본을 설득한 뒤, 협정서에 인천을 명시하기로 인천시와 2차례 정도 협의했었다”며 “하지만 통상 국제협약에 도시까지는 넣지 않은데다, 아직 사무국 설치 장소가 최종 확정되지 않아 지명을 포함하기 곤란하다”고 밝혔다.
그동안 외교통상부는 내부 업무보고 등에 인천 사무국 설치를 최적으로 분석했으나 다음주로 예정된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에선 구체적인 지명이 거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사실상 확정됐던 협력사무국의 인천 유치가 원점으로 돌아간데다, 현재 임시사무국 설치가 유력해지고 있는 서울에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인천 유치가 확실했지만 갑자기 대통령의 의중이 임시 사무실을 서울에 두는 방향으로 기울더니, 결국 협정서에도 ‘인천’이 빠지게 돼 무척 당혹스럽다”며 “오는 17일 외교통상부를 대상으로 설득에 나서는 등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