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애경유화 MOU 체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눈길
SK에너지가 애경유화와 손잡고 음극소재 개발에 나서는 등 전기차용 배터리 핵심소재 국산화와 배터리 소재 분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모델 구축에 나섰다.
SK에너지는 지난 13일 대전 유성구 애경유화 중앙연구소에서 김동섭 SK에너지 기술원장과 김정곤 애경유화 연구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용 배터리 음극소재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에너지는 이에 따라 애경유화가 개발하고 있는 음극소재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 상용화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양사간 공동 연구체계를 구축, 전기차용 배터리 핵심소재인 음극소재 국산화에 나설 방침이다.
음극소재는 양극재·분리막·전해액과 함께 2차전지의 4대 핵심 소재. 전기차용 배터리의 음극소재는 주로 흑연물질과 하드카본 등을 혼합해 생산된다.
하드카본은 기술장벽이 높아 일본 기업만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음극소재 가운데도 핵심 소재.
SK에너지와 애경유화는 하드카본 개발에도 협력한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애경유화가 개발하고 있는 음극소재를 적용한 전기차용 배터리 성능 테스트 결과가 수입산 소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양사가 개발에 협력할 경우 음극소재 상업화에 자신이 있다”며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 수입 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배터리 원가경쟁력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5년 국내 최초로 2차전지 분리막(LiBS) 기술 상용화에 성공,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국산화에 나선 SK에너지는 이번 협력을 통해 배터리 국산화율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이준수 SK에너지 배터리사업개발부장은 “그동안 음극소재가 전기차용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데도 국산화가 늦었다”며 “양사간 이번 협력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이 되는데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에너지는 지난해말 미쓰비시후소사 하이브리드상용차 배터리 공급 기업으로 선정된데 이어, 올해 현대차의 국내 첫 순수 고속 전기차인 ‘블루온’ 배터리 공급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오는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서산일반산업단지에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신설에도 나서고 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