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명선 행안부에 제안… 각종 재난·재해 업무 총괄
인천시 직제에 가칭 ‘비상계획관’이 신설될 전망이다.
비상계획관 설립은 지난달 발생한 연평도 포격을 촉발로 각종 재난·재해 업무를 총괄하는데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추진됐다.
시는 최근 행정안전부가 연평도 포격 이후 전시와 각종 재난·재해를 총괄할 수 있는 비상계획 전담조직 신설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조직 신설(안)을 만들어 행정안전부에 제안할 방침이라고 13일 밝혔다.
시가 검토하고 있는 비상계획관은 3급을 계획관으로 4급 서기관(과장급) 3명과 8~10명 정도의 5급 사무관(팀장급)을 비롯해 모두 40여명을 두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4급 서기관 자리 가운데 1자리는 현재 시 산하 재난관리과를 비상계획관에 편입시킨다는 방침이다.
시는 그동안 각종 대형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비상대책반이나 긴급상황실 등을 한시적으로 운영해 왔지만 실질적이고 전문적이지 못해 업무에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비상계획관이 신설되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데다 직제가 늘어나 인사 폭도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 관계자는 “비상계획관 신설은 사실상 절실하다. 지난 2003년 조직을 간소화한다는 원칙아래 관련 부서들을 축소했지만 최근 각종 대형 재난·재해에 대비, 전문 조직이 필요하다”며 “행정안전부 승인이 나는대로 신설,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