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빼앗길라’… 불안

송도에 ‘한중일 상설 협력사무국’ 유치

日측 건물 신축까지 임시 사무실 서울 거론에 촉각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한·중·일 상설 협력사무국(사무국) 유치가 막판에 흔들리고 있다.

 

지난달 G20 정상회의 이후 사무국 건물 신축기간인 3~4년 동안 사용할 임시 사무실 장소가 서울로 검토되면서 사무국 유치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12일 시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3국간 상호 협력을 위한 사무국을 내년 중 한국에 설치키로 합의, 최근 사무국 위치를 송도국제도시로 최종 합의하고 이달 중 운영·비용 분담사항을 담은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그동안 한국은 외교와 보안·경호·부지확보 등을 이유로 인천을 선택했고 중국도 인천에 힘을 실어줬으나, 일본이 교통과 운영비 등의 문제로 최종 결론을 내기까지 난항을 겪어왔다.

 

시는 사무국 설치를 위해 송도국제도시 6공구 내 3만3천㎡을 무상 임대해주는 형태로 부지를 제공하고, 사무국 건물 신축기간에 임시 사무실로 미추홀 빌딩 16층을 내 줄 계획이다.

 

사무국이 인천에 유치되면 매년 정상회의 1회, 장관급 회의 18회, 고위급 4회 등 연간 53회 이상의 정부 간 회의가 열리는데다, 향후 EU본부와 같은 아시아공동체 본부로 확대될 경우 인천은 동북아 3국의 외교 중심지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지난달 G20 정상회의 이후 사무국 건물 신축기간인 3~4년 동안 사용할 임시 사무실이 서울로 검토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G20 정상회의 기간 동안 일본 측이 임시 사무실은 서울에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재차 피력한데다, 이명박 대통령도 ‘서울에도 빈 사무실이 많은데 왜 인천에 놓느냐’고 말해 외교통상부가 임시 사무실 위치에 대해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사실상 사무국은 송도국제도시에 설치하더라도, 임시 사무실은 서울로 굳어지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임시 사무실을 유치한 장소에 사무국이 설치될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높은만큼, 3국간 협정이 맺어지더라도 사무국 소재지가 송도국제도시로 명기되지 않으면 송도국제도시 유치는 보장받지 못한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서울은 대규모 사무국 부지를 마련하기 힘든만큼 사무국 유치까지 흔들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며 “다음주 중 외교통상부와 협정 체결에 앞서 최종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