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비상시 軍에 연락관 파견 요청

안보분야 매뉴얼 추진

경기도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과 같은 국지적 안보분야 비상사태 발생시 군에 비상연락관 파견을 요청하는 등 자체 대응 매뉴얼 마련을 추진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도가 이같은 대응 매뉴얼 마련에 나선 것은 북한의 동시 다발적 도발 및 풍수해 등 비군사적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은 마련돼 있지만 국지적인 비상사태와 관련, 명확한 대응 매뉴얼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국지적 안보분야 비상사태 발생에 대비, 공무원의 비상근무 체제 유지 및 민방위 동원 준비 태세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이재민 발생시 일선 시·군 보유차량으로 이들을 수송하고 최단거리 도립병원 및 종합병원·보건소와 협조해 수용시설에 의사와 간호사를 배치하는 한편 도교육청과 협조해 취학아동 대책을 마련하는 등 이재민 구호대책도 확립키로 했다.

 

특히 도는 상황정보 공유 강화를 위해 통합방위사태 발생전 육군 3군사령부에 영관급 이상 연락관을 통합방위 상황실에 파견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는 접경지역 주민 대피시설 보강 및 아파트 등 대형건축물 신축시 대피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것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한편 도는 최근 북부지역 7개 시·군 접경지역에 293억원을 들여 488개의 주민대피시설을 추가 설치하도록 정부에 건의했으며, 도교육청 및 재향군인회와 협조해 학생 및 도민에 대한 안보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