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10대 명문고 육성 신중하게”

‘학력향상 선도학교’ 추진방향 공청회… 전문가 “상대적 박탈감등 부작용 우려”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이 인천 학생의 학력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10대 명문고 육성사업(학력향상 선도사업)이 전문가들 사이 이견으로 쉽지않은 항로를 예고했다.

 

인천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홍성욱)와 교육위원회(위원장 권용오)는 6일 오후 시의회 중앙홀 본관 1층에서 ‘학력향상 선도학교 추진방향 설정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시의원과 교사, 학부모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 시 기획관리실장과 시 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이 발제자로 나서 학력향상 선도학교 시행에 관한 진단 및 바람직한 발전방향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특히 참가자들은 최근 사업정책방향 및 대상학교 선정 방식에서 나오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보안한 뒤 시행하자고 한 목소리를 냈다.

 

장동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인천지부 정책실장은 “그동안 같은 명칭의 사업이 계속 시행돼 왔고, 무려 50억원 가까이가 투자됐는데도 효과가 없다. 내실있는 계획이 필요하다”며 “전체 8만명의 학생을 위한 평준화 정책이 아닌, 10개 학교 상위권 800명의 학생들만을 위한 정책으로 시행에 앞서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관민 인천시 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정책위원은 “학교의 교육력 측정은 모의고사 결과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데다, 단순히 계획만 세운 뒤 명문고로 10개 학교를 선정한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며 “10개 학교에 선정되지 못하면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해 더 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전체 학교가 함께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종 (사)참교육을위한 전국학부모회 인천지부장은 “학교 선정작업에 객관성을 담보로 할 수 없고, 돈을 들여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은 근시안적 판단에 불과하다”며 “시의 재정위기속에 또 실효성 없는 사업을 이처럼 졸속으로 추진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국 16개 시·도와 다른 방향으로 성적 향상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연극제나 체육대회 등 인간중심의 교육에 투자나 집중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이재훈 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학력향상 선도학교는 과거 명문고와는 성격이 다른 교육력이 높은 학교를 뜻 한다”면서 “충분히 검토해 전국제일의 교육성공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