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개공, 2천억 손실 우려
개발-실시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 안거친채 추진
인천시가 도화구역 내 제물포청사 조성사업을 각종 행정 절차도 거치지 않은데다 구체적인 방안도 확정하지 않고 졸속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시의 이같은 계획으로 재정 위기에 있는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는 2천억원의 손실까지 우려되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191억원을 들여 도화구역 내 옛 인천대 본관·인문사회학부관·선인체육관·종합실습실 등 4동을 남겨 리모델링한 뒤, 시 일부 부서와 시설관리공단·관광공사·상수도사업본부·체육회를 이전하고 제물포 스마트타운은 새로 조성키로 했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이 각종 행정절차도 거치지 않은데다, 구체적인 방안 등 사업계획도 확정하지도 않았다.
시가 예산을 확보키 위해선 도화구역 개발계획 변경과 실시계획 변경 등을 시의회 승인받은 뒤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하고 공유재산관리계획을 변경하는 등의 행정절차를 거친 뒤 전체적인 리모델링계획 등을 마련해야 하지만, 이같은 절차를 전혀 지키지 않았다.
기관별 사업비 분담비율이나 청사 소유권 확보 등에 대해 윤곽만 나왔을뿐, 확정되지 않아 아직 이전 기관도 불확실, 구체적인 리모델링 계획도 마련되지 않았다.
특히 현재 시의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도개공은 행정타운을 뺀 나머지 자투리 부지를 개발해야 해 막대한 손해도 우려되고 있다.
도개공 자체 분석 결과 도화구역을 개발해 인천대 송도신캠퍼스 조성사업비 등 선 투입된 4천500억원을 보전해야 하지만, 땅이 조각나면서 손실 2천억원이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성만 시의원(민·부평1)은 “시가 너무 편의적으로 이같은 계획을 마련할 경우 오히려 과거보다 더 예산만 낭비할 수 있다”며 “도개공을 비롯해 이전 대상 기관들과 비용구조를 맞추고, 공감대를 얻어낸 뒤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급히 추진하다 보니 일부 절차에 어긋나거나, 의견 수렴이 덜 된 것 같다”며 “현재로선 도로를 그대로 쓰고 건물은 리모델링, 당초 계획보다 상당히 예산이 절약되는 것으로 분석됐지만, 도개공과 다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