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올 학업성취도 향상

초등생·중3 기초학력미달 비율 크게 줄어… 신·구도심간 격차는 여전

평가원, 전국 16개 시·도 분석

 

인천지역 초·중·고교 학력이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됐지만 영어 과목 보통 이상 학력 비율은 모두 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인천시교육청과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치러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3학년 기초학력미달자(전체 하위 20%) 비율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2번째, 고교 2학년 기초학력미달자는 3번째 등으로 적었다.

 

중3 보통이상 학력(전체의 상위 50% 이상)은 5위, 고교 2년 보통 학력 이상은 6위 등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학교 국어의 보통 이상 학력 비율은 1위, 사회와 과학 등은 각각 2위와 4위 등을 차지했다.

 

초등학교 6년의 경우 기초학력미달자 비율 감소폭이 16개 시·도에서 전북(0.5%)에 이어 경기(0.3%), 충북, 전남 등과 함께 2번째로 컸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기초학력 미달자는 대구·경북과 같은 1.5%로 전국에서 9위, 보통 이상 학력은 13위 등으로 지난해 최하위 수준에서 향상됐다.

 

반면 영어 과목 보통 이상 학력 비율은 초등학교 12위와 중학교 11위, 고교 8위 등 모두 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구도심간 학력 격차도 여전했다.

 

송도국제도시를 포함해 대규모 택지개발이 진행되는 동부교육지원청 관할 초등학교 6년 보통이상 학력 비율은 구도심인데다, 비교적 주거환경이 열악한 서부교육지원청 관할 초등학교에 비해 높은데 반해 기초미달 학력 비율은 낮았다.

 

특히 농·산·어촌지역인 강화는 보통 이상 학력 비율이 지역 교육지원청 5곳의 중간 수준인데 반해 기초학력 미달비율은 가장 낮거나 2번째로 낮아 강화의 방과후 학교나 돌봄학교 운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학력 향상은 지난해 학력 향상에 역점을 둬 추진한 사업이 어느 정도 결실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