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입주업체들, ‘방문금지’ 등 남북경협 제동 장기화 우려
개성공단에 입주한 경기·인천지역 기업체들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여파가 장기화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24일 경인지역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에 따르면 23일 오후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통일부는 이날부터 개성공단 방문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는 등 남북 경협에 제동이 걸렸다.
사정이 이렇자 경인지역 개성공단입주업체들은 이 같은 조치가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입주 기업들의 모임인 개성공단기업협회는 23일 긴급 회장단 모임을 갖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지만 업체들 차원에서 이렇다할 대책을 찾을 수 없어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자는 원론적인 의견만 교환했다.
특히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지난 3월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 남북 관계 개선이 논의되고 있는 중에 발생한 북한의 도발이 개성공단 사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다.
개성공단 입주업체인 안양의 T사 관계자는 “개성공단 상주 인력과 연락해 보면 아직 이렇다할 동요나 북한의 요구는 없는것 같다”며 “심각한 상황이지만 사태 추이를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도체부품용기 생산업제 부천의 S사 관계자도 “입주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분명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수많은 위기를 겪으면서 업체들은 적응이 됐다”며 “회사에 대한 나쁜 소문이 거래처 등에 도는 것이 더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전자기기 생산업체 용인의 Y사 관계자는 “생산공장을 개성공장에만 의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며 “중국 등 다른곳에 생산공장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개성공단에 이주했거나 입주를 준비중인 인천지역 36개 기업들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직원들의 안전이나 생산 차질 등 직접적인 문제는 아직 발생하지 않았지만 업체 신뢰도 추락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인천의 한 개성공단 입주 기업 관계자는 “북한 관련 악재가 터질 때마다 쏟아지는 주변의 우려섞인 시선과 관심이 부담스럽다”며 “이같은 시선이 금융권과 시장의 기피로까지 이어지면 개성공단 입주 기업이라는 이유로 낭패를 당할 수 있다”고 걱정했다.
한편, 개성공단에는 121개 업체,764명이 상주하고 있는 가운데 경인지역에서는 경기 32개, 인천 36개 업체 등 모두 68개 업체가 입주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류제홍·이선호기자 jhyou@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