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2만8천여명… 김상회 “복귀프로그램 등 운영”
경기지역에서 매년 1만여명의 학생이 학교를 중도포기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 프로그램이 전혀 마련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중도포기 학생들이 학교 내 학생들과 연계해 또 다른 부적응자를 양산하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김상회 의원(민·수원3)은 23일 열린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에서 3년간 학교 부적응 학생이 2만8천495명에 이르는데 이들을 위한 유형별 전문프로그램이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학교 부적응 학생은 자퇴나 퇴학, 권고전학을 포함한 것으로 이는 전체 중고생의 1% 정도에 이르는 수치이다.
지난해 자퇴 및 퇴학(중학교는 학업유예)은 중학교 2천281명, 고등학교 7천737명이며 권고전학은 중학교 80명, 고등학교 110명 등 1만8명이다.
올해는 9월말까지 부적응 학생이 7천416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개별 상담·대책 프로그램과 Wee클래스와 Wee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공동 프로그램과 지방자치단체 연계대안 프로그램은 없다.
내년 도교육청 예산도 부적응 학생 특별교육 8천만원, 대안교육 장기위탁 3억6천만원, 꿈누리교실(친한친구교실) 4억1천만원 등 예방적 사업에만 11억원이 편성돼 있다.
김상회 의원은 “수업일수가 모자라는 학생들이 정원외 관리에 들어가기 전 도교육청의 전문 유형별 대체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후 퇴학 및 정원외 관리대상으로 분류된 이후에도 자치단체와 함께 학교 복귀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학교로 복귀할 수 있는 유형별 전문 프로그램이 운영된다면 부적응자들과 학교 내 학생들이 연계돼 재발생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이를 위한 조례제정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