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마크,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

1990년대 후반부터 일찌감치 품질위주의 고급 농산물 생산정책을 추진해 온 경기도는 도내 농특산물의 가치상승과 시장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마케팅을 모색,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 끝에 2000년10월 경기도지사가 인증하는 ‘G마크’라는 이름의 농산물 통합브랜드를 출범시켰다. G마크는 ‘경기도가 만들면 다릅니다’란 슬로건과 함께 개별 농특산물이 아닌 광범위한 종류, 다양한 상품들에 브랜드를 부여하고 그 품질과 안전성을 도지사가 보증하는 시스템이다. G마크의 ‘G’는 도지사(Governor)가 품질을 보증하고(Guaranteed), 우수하며(Good), 환경친화적(Green) 농산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G’와 연결된 새싹은 씨앗을 뿌릴 때부터 정성을 다한다는 경기농업인의 의지를 나타낸다.

 

많은 브랜드들이 소리 없이 사라져가는 사이에도 G마크는 오히려 인증업체 수를 늘리며 해마다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00년 10월 출범당시 G마크 인증을 받은 도내 농특산물 생산경영체는 30여개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쌀과 배·포도 등 과일, 떡류, 채소류, 김치, 버섯류, 한우·돼지고기 등 축산물까지 100개 품목 222개 경영체로 늘어났으며 올 하반기 심의가 끝나면 250개로 증가할 전망이다.

 

G마크 농특산물은 전국 최초로 ‘농산물 리콜제’와 ‘도지사 책임 보상제’를 실시해 소비자 신뢰를 쌓아왔으며, 소비자단체에서 365일 상시 품질관리와 안전성검사를 실시하는 등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안에 따라 최고 1억원까지 보상해 주는 ‘손해보험’에 가입돼 있다. 또한 G마크 전담 관리공무원과 소비자단체를 지정해 생산현장을 수시로 점검, 문제발생시 유통중지·반품은 물론 G마크 사용권 취소, 행정처분 등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G마크는 생산단계부터 농약이나 항생제 등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하고 출하직전에 정밀검사를 거친 농특산물에만 부여된다. 우선 시·군의 사전조사를 거쳐 추천된 우수 제품, 즉 상품들만 G마크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어 도청과 소비자단체가 생산현장을 방문해 품질·위생상태를 점검한 뒤 통합상표 심의위원회를 통과해야 비로서 G마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인증을 받더라도 G마크 인증사용기간이 1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품질관리에 힘을 쏟지 않으면 퇴출된다. 실제로 그동안 G마크를 획득했어도 행정기관과 소비자단체의 추가심사에서 탈락된 경영체도 60여개나 된다. 이들 경영체들은 수입산 원료사용, 부적합 농산물 사용, 허용치 이상의 유해물질 검출, 위생상태불량, 생산·사후관리미흡 등으로 취소를 받은 경우다. ‘경기도 농특산물 통합상표 관리조례’에 의해 G마크를 받았다 취소된 경영체들은 3년간 신청자체를 할 수 없다.

 

지난 2007년 2천931억원을 달성한 G마크 농산물 판매실적은 지난해 246%증가한 7천213억원의 판매실적을 올려 경기농정의 선도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 올해에는 매출을 1조원으로 확대하고 오는 2012년에는 매출액 1조 5천억원 돌파를 목표로 브랜드관리 등 경기농산물 홍보 및 마케팅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G마크 농특산물을 300개 경영체로 늘리고 안정적인 G마크 상품공급과 매출증진을 위해 ‘G마크 전용 물류센터’도 건립하고 있다.

 

앞으로 생산에서 출하까지 도에서 관리하는 G마크를 ‘G+’로 업그레이드 시켜 대한민국 최고 브랜드가 되고, 더 나아가 전 세계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는 브랜드로 만들어 나갈 것이다. 음식점은 물론 학교급식이든, 가정에서든 G마크 농산물만 갖고 모든 요리를 해 먹을 수 있도록 국내외 시장장악력을 키워나갈 것이다.

 

문 제 열

경기도 브랜드마케팅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