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부터 농산물의 작황부진과 이상기온으로 인한 잦은 장마에 곤파스의 영향으로 농촌현지에 배추와 무를 비롯한 고추, 마늘의 작황이 예전만 못해 소비자들이 불안해 했다. 이 같은 재해에 정부의 대책이 이미 마련되고 예상되었어야 하나, 주부들은 김장걱정부터 겨울나기 난방 걱정에 시름이 걷힐 날이 없다.
물가안정정책은 많은 정책을 내놓기보다는 실천하려는 강력한 의지가 우선돼야 한다. 그리고 근시안적이 아닌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반짝하는 물가안정대책은 당장은 실현가능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물가불안을 잠재우고 선진국형 물가안정 정책으로 생활물가를 안정시켜야 하며 그 등락의 폭은 매우 작아야 한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에 물가안정에 대한 정보공유와 함께 상호협력을 강화하여 생산자 보호와 함께 소비자의 생활물가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물가안정책으로 전기, 수도, 가스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단가를 조정해야만 할 때다.
정병기 인터넷 독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