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부식·식품권지원 등 시행… 본래 취지 벗어난 ‘생활비 보조’ 지적
일선 지자체들이 시행하고 있는 결식아동 급식지원제도가 천차만별이어서 개선을 통해 생활비 보전이 아닌 결식아동 끼니 해결이라는 본래 취지를 되살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인천시와 각 지자체들에 따르면 미취학 아동부터 고교생까지 급식 지원이 필요한 2만9천558명이 일반음식점 2만1천172명, 단체급식소 5천534명, 도시락 1천245명, 부식 756명, 식품권 881명 등으로 나뉘어 이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지자체를 통해 지정 음식점과 편의점 등을 통해 한끼 3천500원 상당의 음식을 전자카드제도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아동들이 혼자 식사해야 하는 두려움과 심리적인 거부감 등으로 꺼리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음식점이 충분하지 않거나 접근이 쉽지 않아 전자카드제도가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들이 보완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천차만별로 이뤄지고 있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연수·계양구는 식사재료로 사용할 부식을 직접 집으로 배달해주는 부식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옹진군 등은 농협 등을 통해 식품으로 교환이 가능한 식품권을 나눠주는 식품권지원사업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부식지원사업과 식품권지원사업 등이 실질적인 급식지원사업 취지에서 벗어나 자칫 식사가 아닌 생활비 보조로 이용될 수 있어 부평·중·남·서구 등처럼 직접 도시락을 배달해주는 프로젝트가 효과적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전자카드제도 이외에는 각 지자체 사정에 맞게 급식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일관적이진 않다”며 “일부 도서 벽지나 임대아파트 등 특수상황이 아닌 일반 도심에선 도시락이 합리적이라고 보고 이를 권장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