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 적게 주면서 연1회 위생점검 불만 우수판매업소 학교매점 포함해도 54곳뿐
정부가 어린이들에게 건강한 먹을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그린푸드존’ 내 우수판매업소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들 업소에 대한 인센티브가 미흡, 우수판매업소가 확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까다로운 위생점검 등으로 인해 그나마 운영되고 있는 우수판매업소 업주들마저 불만을 호소,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정부는 그린푸드존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판매하는 업소를 우수판매업소로 지정, 각 지자체별로 최고 5천만원의 시설개선자금을 지원토록 했다.
하지만 도내 그린푸드존 1천775곳 중 우수판매업소로 지정된 업소는 학교 매점 30곳을 포함, 단 54곳에 불과하다.
이처럼 우수판매업소의 지정이 저조한 것은 시설개선자금 융자 시 50%를 자가부담해야 하는 등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미흡, 업소들이 우수판매업소 지정을 꺼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54곳의 도내 우수판매업소 중 시설개선자금을 융자받은 업체는 26곳으로 절반 이상이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융자금액 역시 10만~30여만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1년에 1번씩 실시되는 별도 위생점검으로 인해 우수판매업소 업주들의 불만까지 속출하고 있다.
성남시 수정구에서 우수판매업소를 운영하면서 시설개선자금을 지원받은 A씨는 “우수판매업소로 지정되면 많은 혜택이 있을 줄 알았지만 실제 지원받은 것은 표지판과 손소독제 등의 설치 비용이 전부”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또 “불량식품을 근절한다는 취지에 공감해 신청했지만 오히려 1년에 한번씩 위생검사만 받게 돼 우수판매업소를 신청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 관계자는 “제도가 아직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제도를 개선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