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뉴타운 ‘가시밭길’

존치지구 난립 난개발 우려·기반시설 놓고 갈등 불가피

경기지역 뉴타운 지구마다 수십여개의 촉진지구와 존치지구가 난립하면서 난개발 및 지역간 갈등이 우려된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06년부터 도내 12개 시에 22개의 도시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를 선정, 고양 원당, 부천 소사, 광명 등 11곳에 대한 재정비 촉진계획을 확정해 재정비사업, 일명 뉴타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뉴타운 지구 내 신축 아파트 등이 포함된 존치관리구역이 곳곳에 위치하면서 난개발이 우려되는데다 뉴타운 지구내에서 촉진구역과 재정비를 앞둔 존치정비 구역이 많게는 수십여곳에 달해 사업성 및 기반시설 설치를 놓고 조합간 갈등이 불거질 전망이다.

 

현재 촉진계획이 수립된 11개 뉴타운 지구 내에 위치한 촉진지구 및 존치정비구역은 모두 141곳에 달하고 있으며 42곳의 존치관리구역으로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촉진구역은 주택노후도와 밀집도 등 현행법상 재정비 요건을 충족하고 있고 존치정비구역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구역지정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난 후 수년 뒤 재정비가 진행되는 곳이다.

 

부천 소사지구의 경우 26개의 촉진 및 존치정비구역으로 쪼개져 있으며 광명 지구도 23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어 각 구역마다 조합이 난립하고 있다.

 

또 신축건물 등으로 재개발이 불가능한 존치관리구역은 도시 재정비 계획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사업 추진시 기형적 공간설계로 인해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구리 인창수택지구는 존치관리구역이 12곳에 이르러 촉진 존치정비구역 11곳보다 오히려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촉진구역 및 존치정비구역은 지형이나 기반시설, 조합원의 요구 등을 감안해서 여건에 따라 정한다”며 “지구 추진과정에서 주민간 갈등이 있을 수 있지만 도시재정비위원회 등을 통해 이해관계에 따라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식·박성훈기자psh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