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상명하달식 관계 개선 경영개선에 공동노력 필요

인천 공기업 경영실태 긴급진단  (下) 독자경영체제 구축 시급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와 인천관광공사(관광공사) 등의 행정안전부 경영개선명령 이행을 위해선 인천시의 정책 결정이 시급하다.

 

특히 수년 동안 반복된 이들 공사의 부실 경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시의 손을 벗어난 독자경영체제가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시에 따르면 도개공은 최근 사장 교체와 함께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개발사업들은 물론,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 조정에 집중하고 있다. 관광공사도 조만간 사장 교체와 자체 경영·조직 진단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행장안전부의 경영개선명령 이행실태 점검이 당장 코 앞으로 다가온만큼 새로운 정책에 맞는 공사의 역할을 결정해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공사 관계자는 “당초 공사는 공공성이 커 사업성이 없는 부분에 대해 시로부터 지원받아 사업을 추진해야 하지만, 시가 검증되지 않은 사업을 떠넘기고 있어 경영상태가 악화되기 시작했다”며 “공사에 책임을 묻기 보다는 공사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서둘러 정리하고 경영개선을 위한 노력을 펼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市-公社 상하구조 탈피

 

기관으로 독립성 갖춰야

 

근본적 부실경영 해소

 

이와 함께 이번 기회에 공사의 부실 경영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왕기 인천발전연구원 박사는 “공기업이 자립할 수 있도록 시가 일방적으로 사업을 하달하기 보다는 사업의 규모와 시기 등을 공사와 사전에 논의하고 조율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특히 공기업의 사업은 공익성격이 강한만큼, 수익과 공익 등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경영이 튼실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지금처럼 대부분의 사업을 시장이 진두 지휘하며 공사 일방적으로 일을 시키는 형태의 구조에서 벗어나 시와 공사가 평등한 위치에서 기관대 기관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갖춰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사장부터 공정하게 공모,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등 독립경영체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