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제2외국어 활성화 나섰다

내년부터 특성화학교 지정 인센티브 등 지원

경기도교육청은 수능 및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제2외국어가 고사할 수 있다고 판단, ‘제2외국어 활성화 대책’을 마련, 내년부터 시행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우선 도교육청은 2011학년도부터 서양어를 한 과목 이상 개설해 운영하거나 제2외국어를 연계 운영하는 중·고교에 연간 1천만~3천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키로 했다.

 

특히 서양어를 두 과목 이상 개설해 운영하거나 학년별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외국어 교육과정 특성화교’ 또는 ‘외국어 교육과정 거점학교’로 지정, 행·재정적인 지원은 물론 승진 가산점 등 교원 인센티브까지 부여키로 했다.

 

또 제2외국어를 집중 이수 또는 연계 이수한 학생이 대학을 진학할 때 동일계열 특별전형 확대 및 우대 차원에서 수도권 제2외국어 설치 대학과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이같은 도교육청의 제2외국어 활성화 대책은 2014학년도부터 수능 과목에서 제2외국어가 제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외국어는 개편안 1안에서는 현행처럼 유지되지만 2안에서는 빠져 있다.

 

또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2011학년도부터 제2외국어는 외국어 과목군에서 교양과목군의 선택과목으로 전환돼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제2외국어 교육이 고사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다고 도교육청은 전했다.

 

제2외국어의 동양어 편중과 중·고 교육과정의 단절도 심각한 실정으로 현재 도내 일반고 중 97.5%가 일본어와 중국어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프랑스어를 비롯한 서양어를 개설한 일반고는 2.5%에 머물러 있다.

 

여기에 일반고 중 제2외국어Ⅱ를 개설한 학교는 단 한곳도 없으며 중학교 가운데 서양어를 개설한 학교는 국제중 1개와 일반중 1개 등 2개교 뿐이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