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 “학생 대화 절반 이상이 비속어”
일선 교사의 절반 이상이 학생들 대화 가운데 20~50%가 욕설, 비속어, 인터넷 은어로 채워져 있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564돌 한글날을 앞두고 7일 전국 유·초·중·고교 교원 455명을 대상으로 학생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2.7%가 ‘학생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비율이 20~50%는 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비속어 등의 비율이 50~70%’라는 응답도 22.4%나 됐으며 ‘20% 이내’라는 답변은 16.4%에 불과했다.
교원들은 ‘조사를 빼면 대화의 반 이상이 욕설과 비속어, 은어로 이뤄져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66.1%가 ‘그렇다’고 답했고, 56.4%는 ‘학생들이 욕설, 비속어, 은어를 쓰는 것을 거의 매일 본다’고 답했다.
이같이 학교 언어환경이 악화된 주요 원인으로는 인터넷이 지목됐다. 응답자 96.2%는 인터넷 시대 이전과 비교해 욕설, 비속어, 은어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고 대답했다.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병맛’(어이없음, 병신 같은 맛의 줄임), ‘열폭’(열등감 폭발), ‘레알’(정말), ‘쩔라’(최고로), ‘베프’(베스트 프렌드), ‘비추’(추천하지 않음), ‘얄짤없다’(인정사정없다), ‘담탱이’(담임선생), ‘안습’(안타깝다) 등의 은어, 비속어를 ‘대부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14.7%였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