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마다 ‘입학사정관’ 인력 태부족

1명이 최대 2천명 담당… “과도한 업무에 평가 신뢰성 저하 우려”

각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학생 정원을 매년 늘리고 있으나 정작 입학사정관 인력은 턱없이 부족, 자칫 과도한 업무량으로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6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며 내년도 입학사정관제 전형대상 인원은 118개 대학에 3만6천63명으로 4년제 대학 입학 정원의 10.4%를 차지한다.

 

개인의 잠재력과 소질 등을 보고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제가 대입제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유명 대학들은 매년 전형을 다양화하고 정원도 늘려가고 있다.

 

그러나 전형 및 평가방법 등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심사할 입학사정관은 대부분 비정규직인데다 인력마저 부족, 입학사정관 1명 당 수백명에서 최대 2천명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주요 대학 수시 1~2차에서 부산대가 입학사정관 1명 당 응시자는 2천206명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 771명, 서울대 624명, 충북대 623.3명 등에 이어 인하대가 597.3명 등이다.

 

인하대는 올해 입학사정관에 의한 전형 수시모집 결과 1차는 620명 모집에 5천10명, 2차는 200명 모집에 963명 등이 응시해 입학사정관(11명) 1명 당 597.3명을 담당했다.

 

지난 2008년은 40명 모집에 2개 전형에서 인원수가 크게 늘었고 전형방식도 지역인재추천과 리더십봉사, 특별재능, 비인가·인가대안학교, 인하TAS-P형 인재 등으로 다양해졌다.

 

그만큼 입학사정관들에 대해선 전형 및 평가방법 개발부터 서류·면접심사 등 신입생 선발과 관련된 업무가 과중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주광덕 의원(한·구리)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파악하기 보다는 사실상 소위 ‘스펙’에 따른 서류심사가 선발의 기준이 될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