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들 “가자! 경기도로”

서울시 공공관리자제 시행으로 물량 사라져… 

부천·성남 등 재건축·재개발 수주 경쟁 ‘후끈’

서울시가 이달부터 공공관리자제도를 전면 시행한 가운데 대형건설사들이 재건축 등의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경기지역에 대거 몰리고 있다.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투명성을 위해 도입한 공공관리자제도는 시공사 선정시기가 주택조합 인가에서 사업시행 인가 이후로 늦어지면서 향후 1~2년 가량 수주가 어려운 상황이다.

 

6일 건설사들에 따르면 서울지역의 공공관리자제도 시행으로 경기지역 사업장을 선정하려는 대형건설사들이 대거 몰리고 있다.

 

그동안 경기지역은 서울 정비사업 수주전에서 밀려난 중견건설사들이 경쟁을 벌였던 곳임에도 불구하고 공공관리제 시행으로 서울지역 물량이 사라지면서 대형건설사들까지 가세해 수주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입찰공고가 난 사업 중 대형건설사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은 부천이다.

 

심곡본동 구역 재개발 사업은 현장설명회 때 15개 업체가 참여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보였으며, 오는 16일 열리는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코오롱·현대엠코 컨소시엄, 동부건설, 두산건설이 격돌한다.

 

심곡3B구역 재개발 조합도 입찰공고를 내고 시공사 선정에 나섰다. 4천억원대의 공사비가 소요되는 이 사업은 SK건설을 비롯해 현대건설, 삼성건설, 대림산업, GS건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재개발·재건축이 몰려 있는 성남과 안양도 시공사 선정을 앞두면서 올해 건설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사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올해 성남지역 처음으로 재건축 시공사를 선정하는 건우아파트 재건축은 아파트 470가구를 새로 짓는 사업으로 사업규모가 비교적 적은 곳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설명회 당시 대우건설, GS건설 등 13개 건설사가 참여했다.

 

안양 삼영아파트주변지구 재개발사업의 경우 현대건설 등 10위권 건설사 가운데 8개사가 현장설명회에 참여해 치열한 수주전을 예고하고 있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서울의 공공관리제 도입으로 매년 일정규모의 건설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비록 규모가 적지만 그나마 여건이 나은 경기지역의 재건축·재개발사업에 몰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