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기업 원산지 인증수출 인정 절차 준비 소홀
“인정 절차 조건 까다로워 정부 행-재정적 지원 필요”
한-EU FTA 체결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인천지역 기업들의 대응 준비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EU는 6일 벨기에 EU 이사회 본부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바호주 집행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FTA에 서명했으며 내년 7월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한-EU FTA가 발효되면 EU로 6천유로(930만원 상당) 이상 수출하는 기업들은 관세청으로부터 원산지 인증수출을 인정받아야만 관세 혜택 등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600여곳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는 지역 6천유로 이상 수출기업 가운데 원산지 인증수출을 인정받은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
FTA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는데다 원산지 인증수출을 인정받을 수 있는 조건과 절차 등도 까다롭기 때문이다.
인증받으려면 원재료의 품목분류 번호 및 원산지 관리 전산처리시스템, 생산물품에 적용되는 원산지기준 관리시스템 등이 필요하고 원산지 증명능력을 갖춘 원산지관리 전담자 등 전문 인력을 채용해야만 해 이를 준비하는데만 수개월이 걸린다.
자금력이나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으로선 FTA에 관심이 있어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다.
대기업 등에 부품 등을 납품만 하고 수출하지 않는 기업도 EU 측이 부품에 대한 원산지 증명을 요구하면 제조업체가 직접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이같은 사실을 아는 기업들이 많지 않다.
이 때문에 기업인들은 정부가 적극 나서 기업이 대비해야 할 상황을 분석하고 충분히 알려줘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남동공단 내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인 A사는 “대기업에 납품만 하다보니 FTA가 체결되더라도 대응하거나 준비해야 할 필요성을 모르고 있었다”며 “FTA가 체결되면 상황에 따라 기업들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네일아트용품 제조 기업인 B사도 “FTA를 활용하려면 인증받고 회사 운영시스템을 교체해야 하는 비용이 적지 않다”며 “정부의 행정·재정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우선 인천FTA활용센터를 중심으로 FTA 설명회와 무료 컨설팅 등을 확대·운영하기로 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