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부풀리기’ 방지 대책… 상대평가 8년만에 전면 폐지
상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되는 현행 고교 내신제도가 오는 2014년부터 원점수,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이수 학생 수만 공개되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된다.
지난 2006년 학교들의 ‘내신 부풀리기’ 파문에 따른 대안책으로 마련된 내신 상대평가제가 8년만에 사실상 전면 폐지되는 셈이다.
원점수·평균점수·표준편차·과목별 이수 학생수만 공개
16일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과정선진화연구에 참여해 온 대학교수, 교원단체 등에 따르면 교과부는 조만간 관련 토론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최종 연구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발표될 내용 중 가장 중요한 변화는 내신제도 분야로, 개편안은 우선 2012~2013년 일부 전문교과 등에 대해 내신 9등급제를 먼저 폐지하고, 2014년부터 전 교과목에 절대평가를 도입한다.
교과부는 개편안에 맞춰 2학기 전국 74개 고교를 시범학교로 선정해 수강 학생이 13명 이하인 과목에 제한적으로 내신 9등급제를 폐지해 운영한다.
이어 모든 과목을 선택형으로 전환하는 2009 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시행되고 과목별 성취도 기준이 완성되는 2014년부터는 절대평가가 일선 고교에서 전면 실시된다.
또 성적공개는 기존 수우미양가 등급 표기에서 원점수,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수강생 수 등 네 가지로만 표기된다.
교과부는 이와 함께 일부 대학이 내신 등급제가 폐지된 것을 악용, 암암리에 고교등급제를 적용해 학생을 선발하는 사례도 생길 수 있다고 보고 공통적인 내신성적 산출식을 만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대학교 방식의 ‘학점제’, ‘졸업요건제’(학점 부족시 졸업 불인정)도 2009 개정교육과정과 새 내신제도 시행과 맞물려 2014년부터 본격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박수철·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