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초등교 194곳에 무장 청원경찰

재개발지역 등 대상… 출입 통제 ‘자동개폐문’도 설치

경기·인천지역 초등학교 235곳(경기 194곳)이 ‘학생안전강화학교’로 지정돼 청원경찰 등 경비인력이 배치되고 학교건물 출입을 통제하는 자동개폐문이 설치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아동 성폭력 등 학교 안팎의 범죄 차단을 위해 각 시·도 교육청의 설문조사와 경찰청의 전국 일제 방범진단, 현장방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체 초등학교(5천855개교)의 17%에 해당하는 1천개교를 ‘학생안전강화학교’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들 학교 중 경기·인천지역 학교는 모두 235곳이며 상당수가 재개발지역, 다세대가구 밀집지역, 유해환경 우범지역 등에 위치해 있다.

 

선정된 학교에는 경비실을 짓고 출입자동보안통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드는 시설비(교당 2천750만원)와 청원경찰, 민간경비원 등 경비인력 인건비·운영비(학교당 1천952만5천원)가 지원된다.

 

올해 소요되는 예산은 교과부 예비비와 시·도 교육청 자체 부담분을 더해 모두 470억여원이다.

 

경비인력은 청원경찰 배치를 원칙으로 하되 인건비와 정년제 부담이 있다는 시·도 교육감협의회의 지적을 고려, 채용·관리가 쉬운 민간경비원, 배움터 지킴이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청원경찰은 무기휴대가 가능하고 민간경비원은 가스총·분사기 등을 소지할 수 있다.

 

출입자동보안시스템은 학생들이 학교건물 개폐문에 전자칩이 내장된 학생증을 찍고 통행이 가능해진다.

 

학생증에는 등하교 때 휴대전화로 문자를 부모에게 보내주는 안심 알리미 서비스와 도서대출 기능도 추가된다.

 

교과부는 권장사항으로 학생들이 자원봉사자의 인도를 받아 한 줄로 서서 집단으로 등·하교하는 ‘워킹스쿨버스’도 운영하도록 했다.

 

교과부는 이달부터 경비인력 채용과 경비실 설치 작업 등을 하고 학생안전강화학교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11~12월 현장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