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형 평가’ 전국 초·중·고 확대 적용

과기부, 학생 평가 개선안 발표

경기도교육청을 비롯 일부 시·도교육청에서 시행하는 ‘서술형 평가’가 전국 초·중·고교에 확대 적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회의실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평가 방법 개선 연수회’를 열고 서술형 평가 확대와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등 학생평가 개선안을 발표했다.

 

남명호 박사(교육과정평가원)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평가’라는 주제 발표에서 “창의력과 인성교육을 위한 학생평가를 위해서는 교육현장의 창의·인성 함양에 대한 인식 공유와 학생평가에 대한 개념의 전환, 평가내용의 전환, 성적처리 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평가 내용은 하나의 정답을 찾게 하는 정답형 평가에서 여러 가지 답을 찾도록 하는 해답형으로 전환하고 평가 방식도 교과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소영 박사는 ‘서술형 평가의 확대’ 발표에서 “암기위주의 선택형 평가에서 탈피해 문제 해결력, 비판력, 분석력 등을 측정하는 서술형 평가가 확대돼야 한다”며 서술형 평가 문항의 예시, 문항 제작 방법, 채점 방법 등을 소개했다.

 

서지영 박사는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발표에서 “수행평가가 본래의 의도대로 치러질 수 있도록 수행평가의 내용, 기준, 시기 등을 예고하고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글쓰기, 토론, 실험 등의 활동을 직접 관찰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