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코드인사’ 논란

교육청 “적재적소 배치” 특정지역 출신 주요보직 대거 발탁… 직원들 불만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25일 사무관급 이상 일반직 100여명의 인사를 단행하면서 전례 없이 사무관들의 보직까지 결정, 배치하는가 하면 특정지역 인사를 대거 발탁하면서 코드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번 인사에서 전 교육감 사람으로 낙인찍혀 본청에서 쫓겨났던 일부 사무관을 발령 1년여 만에 다시 일선 학교로 재배치하면서 전형적인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인사라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29일 도교육청 직원들에 따르면 교육청은 지난 25일 5급 이상 일반직 간부공무원 101명(3급 승진 1명, 4급승진 4명, 5급이상 전보 96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9월1일자)하면서 전례 없이 85명의 사무관의 보직까지 정해 전보시켰다.

 

이를 두고 본청 한 사무관은 “교육공직생활 20여년 만에 각 과장에게 재량권을 주지 않고 직접 사무관의 보직까지 정해 이동시키는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교육감과 같은 지역출신 인사가 대거 본청이나 주요보직으로 발탁되면서 사무관들 사이에서 이번 인사에 대한 불만이 팽배해 있는 상태다.

 

실제 호남출신의 지역교육청 관리과장인 G사무관을 기획관리실 내 한 담당으로 지정, 발령했으며 역시 같은 지역 출신인 2청의 Y사무관도 교육국 내 한 과의 담당까지 정해 끌어들였다.

 

또 호남출신 M사무관을 사학지원과 특정팀으로 발령하기 위해 N사무관과 보직을 맞바꾸기도 했다.

 

특히 전 교육감 사람으로 낙인돼 불과 1년 전에 도서관으로 좌천됐던 L사무관은 다시 시흥지역 한 고등학교로 재발령됐으며 역시 교육정보연구원으로 밀렸던 S사무관도 시흥지역 한 고등학교로 인사조치됐다.

 

여기에 교육국 내 한 과 주무팀 사무관인 L씨는 본청으로 입성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성남의 한 고등학교로 발령되는 직격탄을 맞았다.

 

도교육청 한 사무관은 “이번 인사는 평소 화합과 소통, 능력 중심의 인사를 강조하던 김상곤 교육감의 말과 전혀 맞지 않는 인사”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혁신교육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 조직의 틀을 새롭게 갖춘 만큼 새로운 조직에 적합한 인물을 배치한 것이지 특정지역 및 성향의 편파인사는 없다”고 일축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