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개편안 발표… 언어·수리·외국어 수준별 응시·과목수 절반 줄어
2014학년도 대학입시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횟수가 연 2회로 늘어나고 응시과목 수는 절반 수준으로 대폭 줄어든다.★관련기사 3면
또 언어(국어)와 수리(수학), 외국어(영어) 영역은 난이도에 따라 각각 A형과 B형으로 나뉘는 수준별 시험으로 바뀌고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수능에서 아예 제외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중장기 대입 선진화 연구회(총괄위원장 성태제 이화여대 교수)는 19일 서울 신문로 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수능체제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수능 출제과목을 조정할 필요가 있고 현행 수능이 수험생에게 과도한 학습부담을 준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해 10월 각계 전문가로 대입 선진화 연구회를 구성해 수능 개편안을 연구해 왔다.
연구진이 제안한 개편안에 따르면 현재 중학교 3학년생들이 치르는 2014학년도부터 수년간 학습한 내용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평가해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는 지적에 따라 11월에 보름(15일) 간격으로 2회 시행할 계획이다.
응시영역은 현재의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이 각각 국어, 수학, 영어로 이름이 바뀌고 난이도에 따라 국어 A/B형, 수학 A/B형, 영어 A/B형으로 구분된다.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의 난이도이고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출제 범위가 좁고 훨씬 쉬운 수준이다.
수험생은 자신의 학력수준과 진학할 대학의 계열 등에 따라 A형과 B형 중 선택해 응시하면 된다.
탐구영역은 유사 분야끼리 시험과목이 통합되고 응시과목 수도 줄어든다.
중장기 대입 선진회 연구회는 세미나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이달 말까지 교과부에 최종 보고서를 제출하고 다음달 권역별 공청회를 한번 더 열기로 했다.
한편 교과부는 이를 토대로 10월 말 정부안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