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운영 화장장 등 10개… 주민피해 조사해 적극적인 보상 요구 계획
고양시의회는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고양지역의 주민기피시설 실태를 조사하고 피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활동에 나선다.
시의회는 18일 “서울시의 주민기피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민들의 피해사례를 연구,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달 3일 열리는 정례회에서 ‘서울시 운영 주민기피시설 대책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시의회는 지난달 23일 의원총회에서 주민피해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집행부와 유기적인 협조를 위해 기피시설이 위치한 지역구 시의원 및 각 상임위원회 의원들이 참여하는 특위 구성을 합의한 바 있다.
고양시에는 현재 덕양구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1963년부터 운영 중인 벽제동 서울 시립묘지와 1970년 건립된 대자동 승화원 화장장 등 10개의 주민기피시설이 위치해 있다.
한상환 시의원(민, 원신·흥도·고양·관산·화정2)은 “기피시설 주변 주민들은 지난 수십년동안 교통정체와 악취는 물론이고 지역 이미지 훼손, 지역개발 소외 등 각종 불이익을 받아 왔다”며 “시와 경기도가 지난해 4월부터 대책 마련을 위한 공청회와 간담회를 열어 왔지만 서울시의 무대응으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 의원은 “수원시 연화장의 경우 주민들이 장례식장과 식당, 매점, 꽃집 등의 운영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주민 170여 가구가 3억원을 출자해 주식회사를 운영하며 수익을 얻고 있는 등 대부분 지자체가 기피시설을 설치할 경우 적절한 주민보상을 하고 있다”며 “반면 고양시는 지난 2000년 승화원 화장로를 16기에서 23기로 7기나 늘리면서 주변 마을 주민들에게 ‘마을발전기금’을 나눠준 것이 지금까지 보상의 전부”라고 지적했다.
이에 특위는 출범 초기 시설의 문제점과 주민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실태 파악에 나설 계획이다.
또 도내 다른 지자체의 사례를 수집, 이를 근거로 시의회 차원에서 서울시에 적극적인 보상을 요구할 계획이다.
한편, 특위는 시의원 9인으로 구성되며 내년 2월말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