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분리·신설로 사실상 이름만 바꿔… ‘수요자 중심’ 취지 퇴색
교육과학기술부 방침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이 오는 9월 대대적 조직개편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일선 지역교육청들이 도 조직개편 모형에 따라 업무분장 및 인원개편 작업을 벌이면서 내부갈등 등 혼란을 겪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교육청의 경우 교과부 및 도 방침에 맞지 않게 특정 팀 분리나 신설 등을 통해 사실상 이름바꾸기식 조직개편을 계획, 조직개편 자체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관리·감독 위주의 지역교육청을 교육현장 공감 지원형 교육지원청으로 전환하고 교육수요자 위주의 기능중심 조직으로 개편한다는 방침에 따라 25개 지역교육청으로부터 조직개편(안)을 제출받아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
당초 도교육청은 지역교육청 조직개편 모형으로 2국 6과체제 모형과 2과체제 모형을 지역교육청에 시달, 이를 기반으로 지역현실에 맞게 팀을 조정, 조직개편을 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상당수 지역교육청들이 조직개편에 따라 팀 업무분장과 인원배정을 계획하면서 내부갈등을 겪는가 하면 특정 팀을 분리하거나 새로운 팀을 신설하는 등 편법을 통해 도 조직개편안 자체를 무력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2국6과 체제의 A교육청의 경우 감사팀 자체가 도교육청으로 이관, 감사담당 직원만 배치키로 한 도교육청의 방침을 어기고 기존 직제를 그대로 유지키 위해 ‘행재정컨설팅’팀을 신설키로 하는가 하면 수용팀과 관재팀을 합치기로 한 방침도 무시, 학생수용팀과 관재팀을 분리해 그대로 유지키로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계획으로 일부 팀의 경우 업무는 늘어남에도 인원보충은 없고 일부 팀은 업무가 줄어듬에도 기존 인원을 그대로 보유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직원간 내부갈등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2과 체제의 B교육청 역시 경영지원과로 이름이 바뀌는 관리과의 기존 7개 팀을 그대로 유지키 위해 도교육청이 시달한 모형의 ‘교육복지협력팀’을 ‘예산팀’과 ‘성과협력팀’으로 분리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A교육청 관계자는 “사실상 대부분의 지역교육청들이 기존 조직을 유지하려고 하고 있다”며 “교과부 및 도교육청 조직개편 의미와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박수철·유진상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