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토론대회 논제 논란

‘의정부 고교평준화 이뤄져야’ ‘학생인권조례 제정 필요’

의정부교육청이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토론대회를 벌이면서 논란을 빚고 있는 교육정책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거나 현 교육감이 추진하는 교육정책과 부합되는 것을 논제로 택해 시비가 일고 있다.

 

22일 의정부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따르면 의정부교육청은 지난 20일 의정부시 솔뫼중학교에서 중학교 18개팀, 고등 9개팀이 참가한 가운데 ‘제3회 의정부 중등학교 토론대회’를 개최했다.

 

참가자들은 예선에서 중등부 ‘의정부시 고교평준화는 이뤄져야 한다’, 고등부 ‘경기도교육청의 학생인권조례제정은 필요하다’, 본선에서는 ‘한반도 안정을 위해서 대북포용정책이 필요하다’는 논제를 놓고 찬반으로 나뉘어 토론을 벌였다.

 

논제는 의정부지역 13개 중학교에서 제출한 26개와 고등학교 8개교서 제시한 13개를 놓고 대회 참가 중학교 교사 2명, 고교 교사 2명이 최종 선정했다.

 

학교에서 제시한 예비 논제 중에는 ‘남여공학, 사형제도 폐지, 남자화장, 수준별이동수업, 성범죄자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 동성애, 영어조기교육, 낙태허용, 월드컵의 인류화합 기여, 아이돌그룹의 노출정도, 학원교육, 고등학교 남여 혼합반 편성’ 등 다양했다.

 

그러나 의정부교육청은 예비논제 중 학생 생활과 괴리된 것은 토론하는 데 힘들고 생생한 토론이 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이들 세가지를 최종 선정했다.

 

또 최근의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고 찬반의 선호도가 비슷해 대립토론으로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할 수 있어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시민들은 논란이 되고 있는 민감한 교육정책을 학생들에게 당연히 추진되는 것처럼 받아들이게 하고 경기도 교육 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을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논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신희숙 의정부교육청 장학사는 “논제를 긍정적으로 표현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며 “토론 규칙이 찬반으로 나뉘어 특정이념이나 교육적인 강요는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에는 중·고등부 공통으로 예선은 ‘인터넷의 익명성은 보장돼야 한다’, 본선은 ‘소생 가능성이 없는 말기환자에 대하여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치료를 해서는 안 된다’로 토론회 논제를 정했었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53520@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