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조력발전소 물거품 되나

市, 댐 길이 등 절반축소 업무보고… 송시장 “환경피해 등 재검토”지시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이 사실상 백지화될 전망이다.

 

7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한국중부발전㈜과 대우건설컨소시엄, 강화군 등이 공동으로 2조3천500억원을 들여 강화도~교동도~석모도~서검도를 방조제로 이어 발전용량 840㎿의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날 송영길 시장의 전면 재검토 의지에 따라, 기존 8.3㎞이던 댐 길이를 4㎞로 줄여 발전용량과 사업비 등도 각각 420㎿과 1조2천470억원 등으로 변경하는 등 당초 계획에서 갯벌 면적을 7.65㎢에서 2.14㎢로 줄여 건설하는 내용을 담은 방안을 보고했다.

 

시는 탄소 배출권을 확보해야 하는만큼 꼭 필요한데다, 방조제가 홍수와 해일 등을 막아주는만큼 조력 발전소 건설은 필요하다며 환경 피해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규모를 축소했다.

 

그러나 송 시장 등은 업무보고를 받고 “다시 재검토하라”는 뜻을 재차 밝히며 사실상 백지화 수순을 밟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견 수렴이 충분하지 않는만큼, 건설을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어민대책위, 국내·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간검증위를 통해 갯벌 및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를 다시 검토토록 했다.

 

대신 정부의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계획 진행상황을 지켜보며, 오는 9월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을 신청하는 등 행정절차는 계속 진행하기로 했다.

 

당장 백지화될 경우 그동안 민간 기업이 타당성조사와 사전환경성 검토 등에 이미 투자한 비용 수십억원 처리를 놓고 시와 민간 기업간 소송이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지방선거 과정에서 표심이 담겨있는 정책이고 환경 파괴가 불가피, 백지화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은 정부가 지난 2월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발표하면서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갯벌 파괴와 생계 위협 등을 이유로 반발, 중단된 상태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