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농산물, 농촌 활로의 지름길

연일 미디어를 통해 보도됐던 아이티 강진의 충격은 자연 재해의 참혹함을 지켜봐야 하는 안타까움을 넘어 전 세계인들에게 또 하나의 교훈을 남겼다. 식량은 곧 생명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최근 광우병, 멜라민 파동, 불량만두와 같은 식품 위해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면서 먹을거리의 안정적 확보 못지않게 안전성 역시 시급한 문제임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소비자들의 먹을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농산물 구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친환경·유기농산물은 다소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역시 ‘농장에서 식탁까지’, ‘국경에서 가정까지’ 등의 구호를 앞세워 농산물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과 정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소비자의 막연한 식탁 안전의 불신감을 해소하고 우리 농식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06년 GAP(농산물우수관리제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농약, 중금속, 곰팡이독소, 식중독균 등 화학적·생물적·물리적 위해 요소가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

 

또한, 농산물이력제를 통해 농산물의 생산과정에서부터 유통단계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한편, 농수산물도매시장과 대형할인매장에서는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농산물만이 유통되도록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2009년 기준 국내 GAP 안전농산물의 생산비율은 2% 내외로 2012년까지 정부의 정책목표 10%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에 GAP 제도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산물이 GAP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강화하고 있다.

 

한편, 수확 후 운반 중 상품성이 저하되거나 껍질이 두꺼워 안전위생에 문제가 없는 딸기, 복숭아, 밤 등 21종의 농산물은 예외 품목으로 지정하는 등 농업인의 참여가 쉽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있으며 앞으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더 이상 농민이 생산방식을 결정하던 시대가 아니다. 소비자의 냉혹한 선택에 따라 농가소득이 발생하고 농업생산방식이 결정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부터 신뢰받는 농업, 찾아오는 농촌을 만들기 위한 ‘푸른농촌 희망찾기’ 운동을 추진하면서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친환경 안전 농축산물 생산을 핵심 목표로 설정했다.

 

이 캠페인의 성패는 농업인이 우리 농업의 선진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해 얼마나 자율적으로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다. 농업인 스스로 국내 농축산물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농촌 환경과 경관 개선을 통해 도시민이 찾아오는 농촌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정부는 ‘푸른농촌 희망찾기’ 사업의 조력자로서 제도적, 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하지만 결국 지속 발전 가능한 희망농촌의 새로운 모델, 안전 농산물 생산의 전초기지로 활력 농촌을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 해결해야 할 몫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홍무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