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정치참여, 국가경쟁력 키우는 원동력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돼 설레는 마음으로 시작한 지 벌써 4년. 어느새 임기를 마무리할 때다. 짧은 경험이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기초의원이란 자리는 많은 책임과 의무가 따르는 자리다. 또한 권력도 따라오는 자리임에 틀림없다.

 

다만 권력이 개인 영달의 명예적 차원이 아닌 지역주민과 함께 나누고, 힘을 보태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추는 곳에 공유된다면 더할 나위 없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지방의회는 지역살림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생활정치의 실천현장이며, 민주정치 실습의 장이 아닌가 싶다. 때문에 이 같은 살림의 현장에서 생활정치를 펴는 데는 여성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은 4년의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얻어낸 것이다.

 

남성들의 술과 조직문화는 꼼꼼히 따져야 할 사안에 대해 건성으로 넘어가는 우를 범하기 십상이다. 또한 권력을 남용할 수 있는 개연성도 많다.

 

그러나 여성의 특성상 본인 책무에 최선을 다하려고 하며 정직하고 투명하게 하려는 기본적인 소양들을 가지고 있다.

 

최근 보고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6년 지방선거를 통해 의회에 진입한 기초의회 여성의원들의 의정활동 성과는 희망적이다. 여성의원은 남성보다 여성과 소외계층, 사회적 약자에 관련한 조례를 더 많이 발의했고, 여성의원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훨씬 더 적극적인 입법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8월 치러진 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제1 야당이던 민주당이 여당 자민당에 308석 대 119석으로 승리를 거두며 54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뤄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정권 교체’가 화두가 된 이번 선거의 주역은 단연 젊은 세대와 여성이었다.

 

대승을 거둔 민주당의 초선의원 비율은 46.4%에 달했지만 자민당의 경우 4.2%에 불과했다. 또한 여성의원의 경우 2005년 선거의 43명보다 크게 늘어난 54명으로 전체의 11.3%를 기록, 일본 정치사상 여성의원 비율이 처음으로 10%대에 진입했다.

 

현대 생활의 모든 영역은 정치와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여성 스스로의 힘으로 삶의 조건을 바꿔가는 생활정치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자치는 주민 실생활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는 삶의 정치다. 지방의원은 생활정치를 담당할 지역 일꾼으로 가정생활을 꾸려왔던 여성이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여성과 생활정치를 2010 지방선거의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

 

여성의원의 수를 확대함으로써 정치문화를 바꾸어 민생정치를 확고히 할 수 있는 기틀을 조성해야 한다. 여성 중심의 생활정치 실현은 곧 지방은 물론 국가 경쟁력과 위상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임을 확신하다.

 

/김미정 오산시의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