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누빌 ‘글로컬 인재’ 배움터
경기대학교는 자체 발전전략인 경기비전 2012를 기초로 대학내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대학 간 경쟁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 특성화 분야들을 선정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특성화 사업은 21세기를 선도할 수 있는 국제감각과 현장경험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내 교육 경쟁력을 갖춘 특성화 분야를 지원하는 3개 정책사업과 전 대학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한 2개 공모사업으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특히 공모 특성화 사업은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발전 전략과 연계해 지역 선도 대학으로 거듭나는 원동력을 제공할 방침이다.
경기대는 특성화 사업을 통해 대학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교육 경쟁력을 강화해 대학 고유의 브랜드를 생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디자인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
지난 2006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제 1단계 사업을 벌이고 있는 디자인비즈니스 교육 특성화 사업은 취업률 100%를 뛰어 넘어 ‘완전취업 실현’이라는 핵심목적 달성을 목표로 하고있다.
‘완전취업’이란 취업의 양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취업의 질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전원 산업활동의 주체가 되는 것을 뜻하며 국내외 주요기업에 취업해 디자인을 경영전략의 핵심요소로 운용하면서 독자적인 디자인컨텐츠 개발에 의한 창업을 의미하고 있다.
학생이 가고 싶은 대학, 기업이 찾는 대학으로의 위상을 확보하고 기업맞춤형 특성화교육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비즈니스 전문화 교육, 국제화 교육, 산학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디자인비즈니스 교육환경에 필요한 교육기자재 및 설비구축, 여러 명의 교수가 함께 강의를 진행하는 학과교과목의 팀티칭 실시 등 다양한 세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교육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는 에듀케이션(education·교육)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오락)의 합성어로 게임을 하듯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형태를 의미한다.
국가 차세대 핵심동력으로서 문화 콘텐츠 산업이 부각됨에 따라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수준 높은 문화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부문의 경쟁력이 강화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듀테인먼트 문화콘텐츠의 새로운 영역을 개발하고 트랜드를 창조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문화산업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융합 기술
신재생에너지 융합기술 특성화 사업은 21세기의 국가의 지속발전가능사회의 원동력은 환경친화적 신에너지원의 확보와 에너지 소재 및 기술의 개발과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계공학, 화학공학, 환경공학을 주축으로 전자, 물리, 신소재 관련 전공들이 참여해 산학, 학연 등의 공동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와 개발의 중심축으로서 한국전력기술과 연계한 환경에너지연구센터를 유치했으며, 다양한 기업체와 연구소 등과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역시 수행하고 있다.
생물자원 보존 개발을 위한 BEIT 융합기술
생물자원 보존 복원 개발을 위한 BEIT 융합기술 특성화사업단(단장 이상섭)은 미래산업인 바이오 기술분야의 교육 및 연구, 사업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ET, NT, IT 등 연관 분야와 함께 융합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2005년 설립됐다.
사업단은 경기대 총장 직속기관으로 총장, 특성화위원회, 사업단장, 책임교수, 참여교수, 연구원으로 구성돼 있다.
국내 대학 최초로 생물자원 환경분야 특성화사업단으로 지정됐고 국내 유일의 세계소재은행협의회(WFCC)에 가입된 국가 지정 환경미생물 분야 은행이다.
또 국내에서는 플랜트 규모 순환자원화 공장동을 갖춘 사업단이기도 하다.
사업단은 각종 오염원의 제거 효과를 가진 1만여 균주를 개발해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분양하고 기탁하는 업무도 함께 하고 있다.
사업단은 최근 3년간 관련 특허만 53건을 획득했고 논문도 500편 이상 발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