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실무형 인재’ 키운다

김포대학

지난 1996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에 설립된 김포대학(총장 직무대행 윤경배)은 도전과

도약의 역사 속에서 5년 연속 교육부 대학 특성화 부분선정, 중소기업 기술지도 및 기업부설연구소 지원기관 선정 등

최고의 명예를 안으며 개교 이래 대한민국 지성의 산실로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 왔다.

김포대학은 언제나 확고한 가치관과 세계화된 시각, 실용주의적 사고를 갖고 나눔의 소중함을 아는

참된 리더들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 모델과 자율적이고 탄력적인 학사운영,

효율적인 조직 및 행정관리 등 대학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하며 선진 명문 대학으로 힘차게 비상하고 있다.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학생 스스로 진화할 수 있는 능력과 세계적 리더로의 성장 잠재력까지 높여주고 있는 김포대학은 각 전공 분야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재능을 위한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취업중심의 전문화된 학과 편제와 학과 특성에 맞는 맞춤교육 실현으로 김포대 학생들은 차별화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인간화·정보화 교육

인간화 교육은 김포대학이 가장 역점을 두는 부분으로 대학은 매주 학과별 인성교육 시간을 운영, 학생들이 전문적인 기술의 연마에 앞서 사회생활에 대한 확고한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사회봉사를 활성화해 지역사회의 활동에 헌신적으로 참여하며 학생들에게 나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데 소홀함이 없도록 교육하고 있다.

이와 함께 누구나 학과에 상관없이 OA(사무자동화) 및 정보검색, 기초 프로그램 운영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사회의 어느 분야에서도 정보화를 통해 자신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재구성해 처리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중이다.

이밖에도 첨단 실습시설과 함께 중소기업 기술지도 대학(TRITAS)프로그램, 창업보육센터 사업, 창업동아리 지원 제도, 산업체 겸임교수제 등이 어우러져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배양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교육역량 강화

세계의 중심으로 도약하며 무한경쟁시대를 준비하는 김포대학은 대학생들의 국제교육역량강화를 위해 세계화된 리더십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영국, 호주 등 해외 12개국 24개 대학과의 국제 교류를 통해 해외 어학연수와 해외대학 편입학, 교내 어학 프로그램,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실시해 국제적 감각과 세계적인 안목을 배양하고 있다.

 

취업 중심의 전문화된 학과 편제

김포대학은 기존의 유사 학문 분야별 편성에서 벗어나 동일 취업 분야별 학과 편제 구성방식을 채택해 학생의 관점에서 학사 운영을 하고 있다.

지난 2004년 개편된 관광계열 및 경영계열 8개 학과는 이러한 개편을 위한 첫번째 시도이며, 김포대학은 모든 학과 구성이 계열 또는 학부 공통의 기반위에 취업분야별로 전문화, 세분화돼 동일 취업분야 내에서 다양한 업무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할 진보된 교육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의 산실 IT학부와 기업의 조직관리 및 전문 경영인력 양성의 메카 경영·관광학부, 창조적인 감각과 실무중심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생활예술학부 등 실용학문 위주로 맞춤교육을 실현한다는 평이다.

 

KIND 2010 프로젝트

‘KIND(Kimpo college Intensive Development project)2010’은 대학의 발전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기획·수행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야심찬 프로젝트다.

2010년 대학의 미래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대학 구성원에게는 대학의 발전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리더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김포대학은 대학에서 소홀해지기 쉬운 연구 분야를 집중 육성하여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세 부문에 있어 상승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대학에서 가까운 거리에 IT분야를 중심으로 한 Research Park를 조성해 기업 연구소를 유치, 대학과 기업간의 공동연구를 통한 산학협력을 강화하는 데 한몫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학 별도 법인 형태의 산학협력단 운영을 통해 기존의 창업보육센터, 4개 대학 부설 연구소, Research park가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기업의 설립에서 성장, 정착까지 모든 과정을 대학과 함께 하게 된다.

이러한 산학 협력 체제의 구축은 연구 활성화를 통해 최신 기술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일 뿐 만 아니라 졸업생들의 취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연구-교육-취업이 모두 발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구예리기자 yell@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