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국민 2만2천여명이 사망하고 4만1천여명이 실종된 사이클론(열대성 저기압) ‘나르기스’ 발생 원인이 환경 파괴와 미얀마 정부의 안일한 대처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르기스는 시속 190㎞의 강풍과 3.5m 높이의 파도를 동반, 수십만명을 거리로 내몰고 농토를 순식간에 휩쓸었다. 나르기스가 강타하면서 서남부 이라와디주의 중심도시이자 미얀마 3대 도시인 파테인과 인근 마을, 전 수도이자 경제중심도시인 양곤 등이 대부분 폐허로 변했다. 나르기스는 이라와디 지역의 맹그로브숲 등에 대한 무분별한 환경 파괴로 발생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주민들이 삼림보호구역까지 농지로 개간하여 (해안과 강 어귀에 형성된 열대우림인) 맹그로브숲이 급속히 사라지면서 피해를 키웠다. 파도나 강풍으로부터 거주지역을 보호하는 ‘천연방파제’인 맹그로브숲이 사라지면서 주민들의 보호막도 없어졌다. 이로 인해 인구 밀집지역이면서 해발고도 5m 이하의 저지대가 순식간에 물에 잠겨 인명피해가 커졌다.
정부의 늑장대처도 피해를 가중시켰다. 미얀마 정부 기상당국은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강타하기 전 인도기상국(IMD)으로부터 48시간 전 그 위험성을 경고받았다. 하지만 군부독재 미얀마 정부는 10일 있을 신헌법 투표 독려 방송만 했을 뿐 주민대피령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IMD가 4월 26일 사이클론이 접급 중이며, 그 세력이 더 커지고 있다고 처음 경고한 이후 지난 3일까지 모두 41차례나 경고했었다.
지금 국제구호단체가 걱정하는 것은 구호활동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일어날 추가 인명피해다. 세계식량계획(WFP)이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의 피해지역 등에서 이재민 100만여명에게 식량 분배를 개시했지만 홍수와 도로 유실로 접근이 어렵다. 더구나 미국이 3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의 지원도 쇄도하고 있는데 입국 비자를 빨리 발급해주지 않는다고 외신들이 전한다. 우리나라도 원인이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괴파도’가 충남 보령시 죽도 해안을 덮친 자연재앙이 돌발했다. ‘나르기스’가 남의 나라 일이 아니다.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