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노인정의 ‘복달임’ 笑劇

초복날이다.

복달임이 있었다. 한여름 더위를 물리치는 복달임엔 수박 같은 제철 과일 등이 있다. 삼계탕도 좋다. 하지만 뭐니 뭐니해도 복달임에는 개고기가 제격이다.

개고기를 말하자니까 곁가지로 먼저 덧붙일 게 있다. 닭잡는 도계장도 있는데 도견장이 없는 것은 식품위생법의 허점이다. 개고기를 법제화하는 것은 좀 곤란하다는 생각일 게다. 기르던 애완견이 죽어도 개 전문장례장이 있어서 조사까지 읽으며 장례를 치른다는데 개고기를 먹다니, 노발 대발하는 동물 애호가들도 있을 것이다.

왕년의 프랑스 육체파 여배우 브리짓 바르드는 88서울올림픽이 열릴무렵, 한국의 보신탕문화를 매우 심하게 비난했다. 그녀는 은막을 은퇴한 후 동물사랑운동을 벌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동물애호가들도 채식주의자가 아니라면, 고기를 먹을 것이며 고기는 곧 동물인 것이다. 일본이나 몽골 사람들은 우리가 안 먹는 말고기를 먹고 서구에서도 말고기를 먹는 데가 있다. 육식문화는 인식의 차이가 아닌 관념의 차이인 것이다.

개고기를 무척 좋아했던 지학순 대주교가 살아계셨을 때의 일이다. 한 번은 외국의 모임에서 “한국인은 개고기를 먹는다지요?”하는 빈정거림에 “예, 식용개가 있으니까요”라고 응수했다는 일화가 있다. 외국인은 애완견을 잡아먹는 줄 알지만 그런 개고기는 주어도 안 먹는 게 아니고 못 먹는다. 복달임 개고기, 전래 민속상의 식용 개고기는 흔히 말하는 ‘똥개’가 최고다. ‘황구보신탕’이 으뜸인 것이다. 글의 곁가지가 너무 길어져 본체로 들어가야 겠다.

그래서, 초복날 개고기 복달임이 있었던 곳은 수원시내 어느 노인정에서였다. 소문은 개를 잡는다고 났는데 그게 아니고 추렴을 한 것이 열 댓 분이 한 마리도 아닌 반 마리를 산 것이다. 화제는 사람은 많고 개고기는 적은데서 시작된다. 또 개고기만 산다고 맛있는 보신탕이 절로 되는 것은 아니다. 마늘 깨 파 같은 양념이 좀 많이 들어가는게 아니고, 애쓰는 공력이 얼만데 바깥 노인들이 삶을 순 없는 것이다.

그런데 집안에서의 노부부나 노인정에서의 안노인, 바깥노인들 사이나 지내다 보면 좀 언짢은 일이 있을 수 있어 마침 서로가 삐죽거린 틈이 생겼던 터라 개고기 요리를 안노인들에게 부탁할 수 없는 처지였던 것이다. 할 수 없이 인접한 경로급식소에 부탁해 도움을 받게 됐는데, 이도 처음에는 바깥노인들이 주방만 빌리자고 한 것을 안심찮게 여긴 급식소에서 아예 도맡았던 것 같다.

‘전어굽는 냄새 맡고 집나간 며느리 돌아온다’는 속담이 있지만 개고기 삶는 냄새 또한 여간 진동하는 것이 아니다. 벌써 개 잡는다는 소문이 퍼진데다가 냄새까지 진동하다 보니 이웃 가게들도 대단한 복달임이 벌어지는 줄 알고 우스갯 축하소릴 한 마디씩 했으나 그게 아니다. 정작 다 삶킨 고깃 덩이는 얼마 안 되는데 비해 사람들은 추렴한 사람 수보다 많아 자원봉사 아주머니들이 고깃살을 찢으면서도 개고기 한 점을 입에 넣지 못했다.

이에 이어 벌어진 코미디가 재밌다. 바깥노인들은 살코기를 먹으면서 안노인들에게는 국물만 한 그릇씩 보낸 것이 그만 화근이 됐다. 국물은 제대로 우러난데다 잘된 양념이 듬뿍 담겨 먹음직했다. 그래서 생각한다고 보낸 게 ‘누군 고기 먹고 누군 국물만 먹느냐’는 안노인들의 비아냥만 사고만 것이다. 고기는 모자라지만 추렴에 들지않은 한 바깥노인이 마침 지나가다 들른 것을 자릴 같이 했다. 그에게 ‘돈 만원을 내라’고 하니까, ‘이런 자린 줄 모르고 먹었기 때문에 못내겠다’고 하자 누군가가 ‘다른 ○○들에겐 잘 쓰면서 그러냐?’고 말해 한바탕 폭소가 터지기도 했다.

노인정의 개고기 복달임엔 얘깃거리가 참 많다. 개뼈다귀 촌극도 있고, 돈 말 끝에 만담 같은 은행 나들이 얘기 등도 있었다. 모든 분들이 다 젊어선 한가락씩 한 사람들이다. 이젠 나이 들어 그런 면모를 찾기 어렵지만, 사업가 출신, 고위공무원 출신, 전문직종 출신 등도 있다. 물론 노인정엔 살기가 넉넉잖은 노인들이 많다. 이런 사람들 중에는 젊었을 적에 벌어놨지만 예컨대 자식들 사업자금으로 떼어주고는 사업이 안 되어 자식도 어렵고 부모도 어렵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날 개고기 복달임 추렴을 한 사람들 중에는 형편이 나은 사람도 있다. 보신탕을 사먹을 수 있는데도, 굳이 추렴을 한 것은 사람 사는 재미였던 것이다. 사소하게 보면 아무것도 아니랄 수 있는 이 이야길 칼럼으로 쓰는 것 역시 사람 사는 포근한 얘길 하고 싶어서인 것이다. 나도 노인으로 그 노인정 회원은 아니지만 지인의 초청을 받아 개고기 복달임에 갔다가 본 소박한 정경을 옮겨 보았다.

복날은 또 다가온다. 복달임은 뭐니 뭐니 해도 개고기 잔치가 으뜸인데, 노인정마다 안팎노인들이 복달임을 함께 즐길 수 있게 될 수는 없는 것일까, 중복이 오는 25일이고, 8월14일이 말복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