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 보고회’ 뭐가 켕기길래…

예산은 시민의 돈이다. 예산집행의 혜택은 시민의 몫이다. 예산이 쓰여지는데 시민이 몰라서는 안된다. 지극히 당연하다. 그런데 이렇게 상식적인 일이 의정부시청에서는 아니었다.

지난 7일 재래시장 활성화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있었다. 용역을 맡은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 관계자들이 최종보고서를 가져왔다. 언론이 몰라야 할 이유가 없다. 지난 중간보고회 이후 용역을 위한 용역이란 기사가 나가서였는지, 이들은 분명 언론을 경계했다. 회의 시작 30분전 보고서를 보자는 요청을 거절당했다. 여유분이 없다는 변명이었다. 참석자들이 오기전에 잠시 빌리자는 요구도 거부당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들의 최종보고서는 심지어 감춰져야 한다는 느낌까지 받았다. 지난 중간보고회 때도 지적됐지만 참석자들에게 사전검토시간이 주어져야 한다는 의견은 완전 무시됐다. 결국 회의가 시작되기 바로전 끈질긴 요청에 그들은 마지못해 보고서를 넘겼다.(회의가 끝나면 회수하겠다는 다짐을 받아낸 뒤였다.)

시 관계자들도 한 수 거들었다. 오픈할 수 있는 자료가 아니라는 것이다. 무슨 말인가! 최종보고회를 열면서 보고서 내용이 나가서는 안된다는 강변이 도대체 무슨 말인지 이리 뒤집어도, 저리 뒤집어도 이해되지 않았다. 용역기관 관계자를 옹호하는 친위대 역할을 시 관계자들은 마다하지 않았다.

시민보다 연구진이 우선순위에 있었다. 용역결과물은 예상(?)을 크게 지나치지 않았다. 참석자들의 상당수도 같은 의견이었다. 4천700만원의 예산을 들인 용역에 민자역사의 대형할인마트에 대한 거론은 한마디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런 이유때문인지, 아니면 언론의 비판이 부담됐는지 어쨌건 씁쓸했다. 용역의 적정성을 산술적으로 표시할 수는 없다. 한다고 하는데 내용이 상대방의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시와 용역연구기관이 합심해서 시민들의 알권리를 무시해서는 결코 안 된다.

/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