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유가족 두번 울린 군병원

유비무환(有備無患). 군은 이같은 이유로 존재한다. 국민 혈세의 상당액을 국방비로 할애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어느 누구도 예고하지 않고 그렇다고 예고할 수도 없는 유사시를 준비하는 집단이 바로 군이다.

이런 속성은 군 병원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GP 총기 난사사건 사망자를 처리하는 모습은 유가족들에게 결코 신뢰를 얻지 못했다. 사고는 오전 2시30분께 발생했는데 유가족들이 소식을 접한 시각은 3시간이나 지나서였다.

병원에 도착해보니 내 아들 얼굴을 볼 수 없었다. 무작정 기다리고 또 기다려야만 했다.

다리 부상이란 잠시 안도감도 있었지만 병원에 도착해 보니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부상을 입은 상흔은 살점이 버젓이 삐져 나올 정도로 엉성히 봉합돼 있었다. 내 피붙이가 죽었는데 정확한 사고경위를 알 수 있는 통로는 병원 어디에도 없었다. 그 흔한 TV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볼 수 없었다. 머리가 아프고 목이 탔지만 물 한 잔 제대로 마실 수 있는 곳도 없었다. 궁금증을 물어보면 ‘신속’과 ‘정확’ 등을 기조로 삼는 군의 대답은 30분이나 지나기 일쑤였다. 답변도 여기 물어볼 때 틀리고 저기 알아볼 때 달랐다.

사고를 제대로 밝히고 책임질 수 있는 ‘윗선’들은 반나절이나 지나서야 나타났다. 이처럼 군이 흐트러지고 있으니 병원은 우왕좌왕 갈피를 잡지 못하다 모 사망자 기록을 잃어버렸다는 얘기까지 흘러 나오고 있다. 차마 말문이 막혀 한을 온몸으로 흐느끼는 유가족들에게서 분노가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런 군을 믿고 내 자식을 군에 맡길 수 있겠느냐는 피맺힌 비난이 끓어 올랐다. 휴일을 뒤흔든 소식에 육군양주병원도 최선의 모습을 보여 줬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유가족이 생각하는 군과는 거리가 멀었다. 유가족들에겐 모든 면면이 유감스럽기만 한 날이었다.

/배 성 윤 기자 sy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