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안양의 미래도시 모습

안양의 미래 도시모습을 어떻게 만들 것이냐를 결정하는 건설교통부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회의가 오는 26일 예정되어 있다. 이 중도위 회의에서는 안양의 공업용지 31만6천평을 주거용지로 바꾸는 문제가 결정될 예정이다.

현재 안양의 인구밀도는 전국 3위로 초과밀도시이다. 안양에는 이미 쓸만한 구릉지역은 다 개발되어버리고 현재는 개발이 매우 곤란한 산지만이 남아있는 형편이다. 땅은 좁고 인구는 많다보니 학교, 하수등 도시기반 시설이 턱없이 모자란다.

학교만 해도 안양은 2020년까지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앞으로 29개(초10, 중8, 고11)를 더 지어야 하나 학교 지을 땅이 없다. 앞으로는 아파트 공장처럼 운동장이 없는 빌딩형 학교를 지을 수 밖에 없게 되어 있다.

하수 문제도 재작년에 지은 하수처리장이 1일 60만톤으로 안양 뿐 아니라 인근 군포, 의왕의 하수까지 처리하고 있는데 정부의 계속되는 택지개발로 2년 반 후인 2008년이면 하수처리 능력이 초과하게 된다. 그러나 안양에는 가용토지가 없어 기존의 하수처리장 옆에 증설할 수도 없고 신규 하수처리장을 지을 땅도 없다. 곧 2008년 이후에는 ‘똥물’을 안양천에 그대로 내다버릴 수 밖에 없게 되어 곧바로 한강을 오염시킬 수 밖에 없게 된다.

이같은 현실에서 건교부 중도위가 만일 기존의 공업용지를 주거용지로 바꾸는 결정을 내리게 되면 아파트가 들어서는 것은 시간문제로 안양의 도시환경 파괴는 불을 보듯 뻔하다.

학교나 하수처리 문제 이외에도 공업용지가 주거용지로 바뀌어 인구가 늘어나게 되면 주차장, 교통 등 다른 도시문제도 더욱 심각해진다. 지금도 부족한 주차 공간이 더욱 모자라게 되어 골목길에 차를 세워 소방차 진입이 곤란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안양의 主 진입 교차로인 인덕원이 교통혼잡으로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은 명약관화하다. 그래서 안양은 2020년의 인구목표를 70만명(현재는 63만명)으로 잡고 강력한 인구 유발 억제정책과 함께 도시 발전을 도모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필자의 이같은 호소는 도시를 쾌적한 공간으로까지는 만들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지금보다는 더 악화되지는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몸부림이다. 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는 교수들의 올바른 판단을 간절히 기대한다.

/심 재 철 국회의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