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지역 치안서비스에 비상이 걸렸다. 고양 인구가 86만명을 넘어 섰기 때문이다.
최근 행정자치부가 분구를 승인해줘 다음달 16일이면 일산 서구가 청사를 마련,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시가 개청을 자축하며 축제 분위기인 반면 치안을 담당하는 고양·일산경찰서는 주민들의 치안만족도 향상을 위해 주민과 토론회를 통해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등 수사시스템 구축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고양 일원은 강력 범죄 발생시 다른 지역과 달리 사통팔달 교통망으로 범죄자들이 외곽으로 달아날 경우 차단하기가 쉽지 않은 업무상 특수성으로 인해 체질 변화 없이는 상황 대처가 어려운 곳이다.
이곳 치안을 담당하고 있는 고양·일산경찰서 인력은 지난 2003년 8월 경찰청 근무형태 변화에 따라 각각 지구대 4곳과 치안센터 8곳 등 24곳에서 400여 명이 3교대로 나눠 근무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들은 아직까지 지구대 사무실 하나 없는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연일 쏟아지는 업무 혁신과 5대 범죄 소탕작전에 투입되면서도 묵묵히 맡은 바 임무에 충실, 매일 파김치가 되도록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이에 따라 “인구 증가에 따른 분구도 좋지만 갈수록 흉포화되는 치안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정부가 이들의 복지와 시설 등을 개선, 강·절도사건 해결에 절반의 성공이라도 거둘 수 있도록 균등 지원책을 강구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시민단체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오 세 만 기자 smh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