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전공노 총파업 유감

공무원의 고객은 주민들이다. 그런 공무원이 파업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 간다. 지난 9~10일 전공노는 총파업을 앞두고 찬·반투표에 돌입했었다.

그러나 사실상 총파업은 무산됐다. 이제 남은 건 찬반투표에 참여했던 조합원과 총파업 당일 끝내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조합원들에 대한 징계수위와 방법 등이다.

호응을 받지 못한 채 강행한 이번 총파업을 통해 전공노가 얻은 건 무엇인지 궁금하다. 전공노가 노동3권 쟁취를 위해 총파업을 강행한 건 공무원들이 주민들을 위한 공복이란 점에서 언뜻 이해되지 않는다.

전공노가 무엇인가 얻어 내려 했다면 주민들의 눈높이로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노동조합 형태가 아닌 다른 모습과 방법으로 처우 및 환경 등을 조금씩 개선하는 노력을 보여 줘야 한다.

특히 전공노가 주민들의 힘을 얻으려 했다면 잘못된 행정으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와 공무원들의 구태나 단체장 횡포로 자치단체가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사례 등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을 먼저 기울여야 한다.

최악의 경제상황에서 전공노의 이번 총파업 결과는 예견된 일인지도 모른다. 권한도 없는 부단체장에게 책임만 묻는 행정자치부 방침도 받아 들이기 어렵다.

주민들은 이제 상·하 이분법으로 나뉜 공직사회가 갈등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 마지막 보루로 주민들 곁으로 돌아와 주길 기대하고 있다.

/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