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독서지도 전문가 양성해야

정부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여, 모든 학교에 도서관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계획은 2007년까지 학교도서관을 학교의 심장부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투입되는 재원 3천억 원까지 책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계획은 학생 1인당 평균 장서를 10권 이상으로 확보한다는 구체적인 안까지 마련되어 있어, 학교의 독서 교육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이 정책은 무조건 환영하기에 앞서 수정 검토해야 할 것이 있다. 우선 이 정책의 핵심은 도서관 설치 혹은 학교도서관의 시설·장비 개·보수 등 물리적 환경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것이 가장 우려되는 문제점이다. 물론 학교도서관 시설 확충은 필연적 과제이다. 하지만 학교 도서관의 신축 및 개·보수는 학교에 새로운 서고를 짓는 것 외에는 별다른 의미가 없을 가능성이 많다. 즉 학교도서관은 독서지도 전문가가 함께 배치되지 않으면, 동네 책 대여점과 다를 바가 없다는 뜻이다.

학교도서관을 학교 교육의 중심으로 만들 구상이라면, 독서 지도 전문가가 반드시 배치되어야 한다. 정부안은 사서 배치에 대해서 의욕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 우리 나라 문헌정보학과나 도서관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사서 교사는 도서 및 각종 도서관 시설을 관리하는 전문 교육을 받고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서 사서는 학생들의 독서 능력 신장을 도울 수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일부에서는 국어 교사가 독서 지도를 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국어 교사 역시 대학에서 독서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비전문가이기는 마찬가지이다.

독서지도 전문가는 독서 이론 및 실제에 대하여 전문적인 능력이 있고,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독서 부진아와 지진아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독서지도 전문가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양성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지만 현재는 이러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곳이 없으니 교원 연수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현직 교사들을 상대로 연수 후 ‘상담 교사’ 자격증을 수여하듯, 교원 연수 규정에 ‘독서지도 교사’ 자격 연수 제도를 신설한다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시설로 학교도서관을 둔다는 정책은 정부가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립한 최초의 정책이란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대되는 바도 크다. 특히 최근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자율적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키워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 그런데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학교 도서관의 핵심인 독서지도 전문가에 대한 대책이 없이 학교도서관 건물 짓기만 한다면 책만 쌓아놓는 서고를 만드는 것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늦기 전에, 학교 독서 교육을 전문적으로 전담 관리할 인력의 확보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독서지도전문가가 있는 도서관이 진짜 학교의 심장부가 되는 것이고,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교육임을 생각해 보자.

/윤재열.수원장안고교사.수필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