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락가 단속의 문제점

최근 경찰은 조직폭력배들의 자금원 차단 등을 이유로 평택시 평택동 삼리에 대해 집중적인 검문·검색을 펼치고 있다.

지난달 9일부터 40여일동안 이 일대에 대한 경력 배치만도 하루 100여명씩 4천여명이 넘고 있으며 이 기간중 윤락업주 및 윤락여성 40여명과 기소중지자 57명 등을 비롯, 음주운전 241건, 기타 40건 등을 적발하는 성과도 거뒀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주민들은 4천여명의 경력을 24시간 다른 곳에 투입했다면 더욱 큰 성과를 거둘 수도 있지 않았겠냐는 반응과 지속적인 검문·검색만으로 윤락가를 폐쇄할 수 있느냐는 의문 등을 표출하고 있다. 윤락여성들도 “이곳이 아니면 윤락을 할 수 없겠느냐”며 “단속기간만 다른 곳으로 피해 있다 단속이 끝나면 다시 오겠다”는 의견들이다.

이같은 반응은 정부차원에서 전국 일대에 산재된 윤락가를 한시적이라도 집중적으로 단속하지 않는 한 윤락가 업주들의 자진 폐업과 윤락녀들의 전업은 기대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해주고 있다. 더욱이 윤락업주와 윤락여성간에 오고간 선불금 등의 단위가 수천만원에 이르고 있어 사실상 전업 및 폐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경찰의 검문·검색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단속을 피해 윤락여성들이 주택가를 비롯, 각종 서비스업종 등으로 파고 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경찰에만 문제가 있다는 건 아니다. 윤락가의 정화 및 계도 차원에서도 이번 경찰의 집중적인 단속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제부터는 정부차원의 대책이 마련돼야 할 때다. 특정지역에만 한정된 집중적인 단속은 자칫 경제논리 등을 펴는 주민들에게 반론의 구실을 줘 윤락에 대한 정당성만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