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활한 중국 대륙은 우리 민족의 역사적인 무대요 보고(寶庫)입니다”(이상은·21·중국 대외경제무역대 유학)
“모스크바는 한집 건너가 극장이요, 박물관이고 미술관이더라구요”(갈원근·21·모스크바대〃)
“미국 전체가 21세기도 지구촌을 주도하겠다는 다짐으로 꿈틀거리고 있었습니다”(김영수·31·미국 유타대〃)
“일본에서 경제학을 들으면서 세계경제 큰틀이 일본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걸 실감했어요”(박설희·20·여·일본 북구주대〃)
시립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대 98학번(3학년) 31명이 1년간의 단기(?) 유학생활을 마치고 검게 그을린 채 건강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이들은 이 대학이 국제화시대에 대비, 설립한 동북아국제통상대학 1기들.
중국과 일본, 러시아, 미국 등지의 대학에서 2학기동안 수업한 이들은 지난 8일 세미나실에서 귀국보고회를 열고 이제 더 이상 ‘우물안 개구리’가 아님을 선언했다.
현지에서의 생활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탓인지 귀국보고를 하는 학생들은 모국어보다는 제스처가 먼저 튀어 나왔다.
고생한만큼 어른다워진걸까.
유학생활중 어렵게 얻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모은 용돈을 쪼개 컴퓨터를 산 학생도 있었고 발품을 들여 러시아민요를 채집한 학생도 있었다.
이들은 한결같이 외국에 나가 보니 조국이 더욱 또렷하게 보였다고 입을 모았다.
학생들을 대견스럽게 지켜본 송희연 동북아국제통상대학장(62)은 “진정한 의미의 국제통상인이 되려면 영어와 제2외국어 구사가 필수이며 이와함께 모국어와 컴퓨터에 대한 끊임없는 연마도 이뤄져야 한다”며 “무엇보다 감사할 줄 모르면 발전이 없다”고 주문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