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 유적을 위해 수십년간 몸바쳐 온 칠순노인이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인천시 삼목도에서 새마을 지도자로 활동해 온 김근배씨(71·농어민).
김씨는 지난 70년대 초 동네 야산에서 선사시대 유물인 빗살무늬토기편과 집터 등을 발견했다.
그 후에도 김씨는 아들 형제와 주민들이 동네에서 돌도끼와 돌칼·도자기편 등을 발견하는 것을 수차례 지켜 보면서 유적유물 보존을 결심하게 됐다.
김씨는 70∼80년대 초 영종면 관계자들에게 이같은 사실을 수차례 알렸으며, 85년 이후엔 인천시와 서울의 학계 등을 찾아다니며 조사발굴을 요청했다.
그러나 반응은 냉담했고 유적 유물 조사발굴단은 오지 않았다.
김씨는 90년 초부터 생업도 뒷전으로 미룬채 스스로 유적·유물 기초조사를 벌이며 주민 증언 등을 토대로 ‘영종·용유향토지’발간 준비 작업을 벌였다.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영종·용유·삼목도 주민들은 마침내 ‘영종·용유 향토지 발간준비위원회’를 결성, 3천만원을 모금해 줬으며 김씨 또한 사비 1천만원을 보태 향토지를 발간했다.
때맞춰 인천시와 인천공항공단의 요청에 의해 94년 서울대박물관팀이 영종·용유 지역 20여개소에 산재된 신·구석기와 삼국시대 유물을 발굴했다.
특히 김씨는 최근 삼국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삼목토성을 발견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삼목토성은 기원전후 중국·한반도·일본열도 사이의 동아지중해 지배를 둘러싼 해상세력들의 쟁탈전을 여는 귀중한 열쇠가 되고 있다.
향토 유적을 위해 20여년을 몸바쳐온 김씨.
그는 지난 8일 삼목토성 표지석을 세우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