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5년까지 인천 앞바다에 널려 있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등 그동안 방치돼 왔던 수질개선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 3개 시·도는 그동안 수질개선 비용분담을 놓고 논란을 벌이다 최근 경기 27%, 인천 50.2%, 서울 22.8%로 일단 합의했다고 도 관계자는 13일 밝혔다.
수도권 3개 시·도는 오는 15일 인천시청에서 열리는 제15회 수도권행정협의회 실무협의회에서 수질개선비용 분담비율을 최종 합의할 계획이다.
3개 시·도는 올해부터 오는 2005년까지 인천 앞바다 수질개선을 위해 ▲바다쓰레기 수거 및 처리 ▲전용수거선 건조 및 운영 ▲전용소각시설 설치사업 등 5개 사업에 1천131억원을 투입한다.
분담비용은 국비가 563억원이고 나머지 568억원중 인천이 285억원, 경기도가 153억원, 서울이 130억원이다.
이중 올해에는 1차 사업으로 쓰레기 분포실태 조사 및 시범수거처리사업을 ▲경기 9억4천500만원 ▲인천 17억5천700만원 ▲서울 7억9천800만원 등 모두 35억원을 들여 추진한다.
또 내년부터 투입될 비용은 물이용부담금에서 각각 분담해 투입한다.
3개 시·도는 지난 98년 6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각 시·도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인천 앞바다 수질개선에 관한 용역’을 실시한 결과 오는 2011년까지 10개 사업 추진에 경기 31.5%, 서울 27.3%, 인천 58.8%의 수질개선비용 분담율을 제시했다가 인천 등의 반발로 논란을 빚어왔었다.
도 관계자는 “최근 정부와의 협의끝에 사업을 5개로 줄이고 비용분담도 새롭게 정립함에 따라 인천 앞바다 수질개선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번 수도권행정협의회 실무협의회에서 ▲부천시 대장동에 외자유치를 통해 추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의 공동이용 ▲시·도별 공무원 휴양시설 공동이용 방안 ▲골프장 관광숙박시설 허용지역 조정 등을 안건으로 제출할 계획이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