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협회와 KBO 첫 해결가능성 찾아

팽팽하게 평행선을 달리던 프로야구 선수협의회와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창립이후 첫 대면, 사태해결의 가능성을 찾았다.

선수협의회 회장인 송진우(한화)와 마해영(롯데), 강병규(두산)는 29일 밤 10시 KBO를 방문해 이상국 사무총장과 2시간여에 걸친 마라톤 협상을 벌였다.

이날 첫 만남에서 양측은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으나 서로의 입장을 확인시켜 준 뒤 일부분 공감대를 형성, 파국으로 치닫던 프로야구가 일단 위기를 넘기며 진정국면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특히 선수협으로선 KBO로 부터 처음으로 선수단체의 실체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큰 소득을 올렸다.

그러나 선수협과 KBO 양측은 선수협의 향후 진로에 대해 견해 차이를 보였다.

KBO는 종전대로 현재의 선수협을 해체하고 8개구단의 전 선수들이 다시 모여 자율적으로 선수협을 구성하면 활동을 보장하겠다고 밝힌 반면 선수협은 현 집행부의 활동을 유보하고 전지훈련을 마친 뒤 새로 집행부를 조각할 수 있다는 방안을 제시해 의견을 달리했다.

해체와 유보의 입장 차이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강경노선에서 탈피한 양측은 31일 다시 만나 대화를 나누기로 합의, 실타래처럼 꼬였던 ‘선수협 파동’이 극적으로 해결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선수협의 송진우 회장은 “현재의 선수협을 해체시키느냐, 유보시키느냐로 의견이 갈렸지만 실체를 인정받은 점은 큰 성과였다”고 강조했다.

또 이상국 사무총장은 “선수들과 상당히 많은 얘기를 주고받아 입장을 이해한만큼 이사회를 통해 새로운 해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KBO는 선수협이 제시한 방안들을 31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논의한 뒤 새로운 협상카드를 갖고 선수들을 다시 만날 계획이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