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협상 총재회담서 결론 가능성

여야는 구랍 30일 오전 국회에서 3당 총무회담을 갖고 선거구제 문제를 조율했으나, 자민련의 도·농 복합선거구제 고수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내년 16대 총선의 ‘게임의 법칙’을 정하는 선거법 협상은 큰 틀의 합의도 이뤄내지 못한 채 내년으로 넘어가게 됐다.

이날 회담에서 국민회의는 한나라당이 소선거구제에서 물러서지 않는 만큼 타협을 해야 한다며 소선거구제 수용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자민련은 복합선거구제를 절대 양보할 수 없으며 여야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표결로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자민련 일각에서 의원수 감축과 인구 상·하한선 조정 등을 전제로 복합선거구제를 철회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와 관련, 국민회의 관계자는 “그동안 표결처리가 어렵다는 입장을 자민련측에 납득할 만큼 설명했기 때문에 이제 자민련이 선택하는 문제만 남았다”고 말해 조만간 선거법 협상의 돌파구가 마련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여야 공식채널간 선거구제 협상이 이처럼 평행선을 달림에 따라 내년 초 성사될 여야 총재회담에서 이 문제가 논의돼 결론이 내려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현재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에서도 현행 법대로 선거를 치르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지난 96년 15대 총선의 경우처럼 선거를 불과 2개월여 남기고 선거구 획정을 비롯한 일부만 개정하는 사태가 재연될 수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